[통합 청주시 출범 전 마지막 난제 인사통합 上]
추진공동위 중심 지원·준비단 구성
2014년 6국 37개과 정원 2709명
본청 근무자 모두 수용할 수 없어
인사조정실무위 합의안 도출 못해
“자기 밥그릇만 챙긴다” 비난 봇물

청주시 전경. 청주시 제공.
청주시 전경. 청주시 제공.

[충청투데이 심형식 기자] 2012년 청주시의회의 의회 의결, 청원군의 주민투표로 청주·청원 통합이 확정된 후 청주시와 청원군은 2014년 6월 30일까지 통합 청주시 출범을 위한 준비를 했다. 2010년 경남 창원시가 마산, 창원, 진해의 통합 결정 직후 준비시간을 갖지 않고 같은해 7월 1일 출범하면서 겪었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청원·청주통합추진공동위원회(이하 통추위)’를 중심으로 통합추진지원단(충북도)과 통합실무준비단(청주·청원)을 구성하고 4개구 설치, 구 명칭 선정, 시청사 위치 및 구청사 위치 선정 등을 진행했다.

통합 청주시의 조직과 정원에 대한 준비도 이뤄졌다. 2013년 8월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통합 청주시의 조직과 정원에 대해 8년 이내의 한시적 기구인 농정국 신설을 포함해 6국, 39개과, 1개 의회사무국, 5개 직속기관, 10개 사업소, 4개 구청, 43개 읍면동으로 설계했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또 청주 1783명, 청원 864명 등 두 시·군의 정원 2647명보다 151명이 늘어난 2798명을 통합 청주시의 적정 인원으로 제시했다.

통추위는 2014년 6국, 37개과 정원 2709명으로 조직안을 조정했다.

그리고 전쟁이 시작됐다.

통합 전 청주시는 3층 행정구조였다. 본청과 상당·흥덕구청 및 사업소, 동사무소로 구성됐다. 청원군은 본청과 사업소, 읍·면사무소의 2층 행정구조였다. 양 시·군 모두 본청 근무자가 승진하는 구조였다. 본청에서 승진 후 다시 일선 동 및 읍·면사무소를 거쳐 다시 본청에 와 승진하는 순환구조가 기본적인 인사시스템이었다.

본청 구성 비율을 놓고 갈등이 빚저졌다. 본청은 모든 정책을 기획하는 조직이다. 또 본청에서 근무해야만 승진대상자가 됐다. 통추위에서 결정된 통합 청주시 본청 공무원 정원은 659명이다. 기존 청주시와 청원군의 본청 근무자 모두를 수용할 수는 없었다. 통합 청주시가 출범하면 누군가는 구청 및 사업소로 ‘역전보’ 될 수 밖에 없었다.

청주시와 청원군은 인사조정실무위원회를 구성하고 협의에 나섰다. 2014년 4월 수 차례의 위원회를 개최했지만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했다. 본청 정원비율과 주요·선호보직의 구성비율을 놓고 마찰이 계속됐다.

청원군이 본청 구성 비율을 1대1로 하자고 주장하면서 협상은 난항을 겪었다. 청원군 내에서조차 ‘본청 기준 1대1은 무리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지만 청원군은 "청원군민들의 우려 해소를 위해서라도 양보할 수 없다"며 배수진을 쳤다.

청주시와 청원군의 협상 지연에 외부에서는 ‘민간단체의 통합 무산에는 패널티를 부과하면서 공무원들은 자기 밥 그릇만 챙긴다’는 비난이 빗발쳤지만 청주시와 청원군의 입장차는 좁혀지지 않았다.

결국 인사조정실무위원회는 통추위 인사조정위원회에 결정을 위임하기로 결정했다.

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