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회서 촉구 건의안 채택 “미래 경쟁력 확보 위해 필요”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대전시의회가 중앙 정부에 대전 지역 대학의 글로컬대학 30 사업 본지정 선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시의회는 10일 제288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를 열고 이금선(국민의힘·유성4) 의원이 대표 발의한 ‘대전 지역 대학의 글로컬대학 30 본지정 촉구 건의안’을 원안 가결했다.
앞서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30 프로젝트’는 저출생으로 인한 학령인구 급감에 대학과 지역이 공동으로 대응하는 모델을 만드는 정책 사업이다.
글로컬대학에 선정되면 5년 동안 최대 1000억원의 예산과 규제 특례, 지방자치단체 투자 확대 유도 등 행·제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교육부는 2023년과 지난해 10개 모델씩 총 20개의 모델을 지정했고, 올해 10곳을 추가 선정해 오는 9월 최종 지정을 마무리한다.
지난 5월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명단에 이름을 올린 대전 지역 대학은 충남대, 한남대, 한밭대 3곳이다.
충남대는 공주대와 함께 대전·충남 최초 ‘초광역 통합 국립대학’이라는 구조개혁을 통해 글로컬대학 본지정에 도전한다.
한남대는 창업교육 역량을 기반으로 지역 창업 생태계인 ‘한남 스타트업밸리’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한밭대는 ‘인공지능 기반 유지보수 정비(AX-MRO) 및 국방 반도체 분야’를 중심으로 지역산업의 대전환을 선도할 인재 양성 허브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대전시는 대학별 전담 TF를 구성해 지역 공동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등 지역 대학의 글로컬대학 지정을 위해 힘써왔지만, 현재까지 본사업 선정 대학은 전무하다.
이번이 글로컬대학 지정의 마지막 기회인 만큼 대전권 대학이 본지정에 포함돼야 한다는 것이 건의안의 핵심이다.
이 의원은 “대전은 전국 최대의 R&D 집적지이자 청년 인재가 밀집한 도시로, 지역대학이 글로컬대학으로 도약할 타당성과 역량을 충분히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책적 사각지대에 놓이는 현실”이라며 “대전의 고등교육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것은 물론, 지역 인재가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구조적 위기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지역 고등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전 지역의 대학을 반드시 글로컬대학 30 사업 본지정에 선정해 줄 것을 대통령을 비롯한 중앙정치권과 관계 부처 장관에게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