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준 대전선병원 혈관외과 전문의

추워진 날씨에도 불구하고 러닝이나 등산 등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계절이다. 그러나 최근 다리 피부 위로 푸르거나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온 혈관, 혹은 운동 후 다리가 무겁고 쥐가 나는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는 단순히 근육통과 겉모습의 문제가 아닌 하지정맥류일 수 있다. 하지정맥류는 다리의 정맥혈관이 확장되고 피부 밖으로 튀어나오는 질환으로, 최근에는 매우 흔한 질환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하지정맥 질환은 다리의 정맥에서 일어나는 모든 질환을 의미 할 수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만성적으로 정맥의 기능이 떨어져서 발생하는 만성정맥기능부전이라는 말과 혼용해 사용하기도 한다. 정맥의 기능이 떨어진 경우 다리로 간 혈액이 다시 심장으로 잘 올라오지 못하고 다리 정맥혈관에 정체되면 염증반응이 일어나면서 다리부종, 쥐가 나거나 저림, 시린 느낌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하지정맥류와 만성정맥기능부전의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다른 질환과 혼동하는 사람이 많다. 흔하게는 다리가 무겁거나 터질 것 같은 경우, 이런 증상이 오후에 심해지고 자고 일어나면 괜찮아 지는 경우, 또 쥐가 자주 나는 경우 혈관이 튀어나온 경우를 들 수 있다. 드물게는 무릎 아래로 다리가 너무 차거나, 거꾸로 발바닥이 뜨거운 경우, 무릎이나 발목 관절이 시리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하지정맥질환을 방치할 경우 초기에 느꼈던 증상의 빈도가 더 자주 강한 강도로 올 수 있다. 혈관이 튀어 나온 경우에는 혈관이 크고 굶어지며 구불구불해지고 혈관 안에 혈전 발생으로 혈관 통을 느낄 수도 있다. 다리가 전반적으로 건조해지고 거멓게 착색이 되며 심하면 다리에 궤양이 발생하기도 한다.

하지정맥류는 초음파에서 명확하게 0.5에서 1초 이상의 역류가 확인되면 진단할 수 있고 관련된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에 수술이나 시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하지정맥 건강을 위해 장시간 서서 혹은 앉아서 일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많이 드는 직업의 경우 압박스타킹 착용을 해주는 것이 좋다. 규칙적인 운동으로 하체 근육을 단련하는 것도 좋지만 균형 잡힌 영양을 통해 본래 가지고 있는 근육을 잘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필요하다면 혈액순환제의 도움을 받아 정맥의 부하를 줄여주는 것도 좋다. 정맥혈관도 사람마다 좋고 나쁜 혈관을 가지고 태어날 수 있다. 건강한 정맥혈관을 가지고 있어도 관리를 잘못하면 금방 나빠질 수도 있고, 약한 혈관을 가지고 있어도 관리를 잘하면 건강하게 지킬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