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지난 일주일간 전국이 대전 초등교사의 비보로 큰 슬픔에 잠겼다. 수많은 시민들이 고인의 죽음을 안타까워했고, 가해자에겐 비난의 화살을 겨눴다. 분노는 곧 행동으로 옮겨졌다. 가해학부모들의 신상정보를 공개하는 익명의 SNS 계정이 개설됐고, 반응은 뜨거웠다. 가해 학부모의 사업장으로 알려진 두 곳 중 한 곳은 폐업 수순을 밟았고, 나머지 한 곳은 무관한 곳으로 확인되며 2차 피해를 겪었다. 이를 바라보는 시각도 극명하게 갈렸다. 사적제재에 도 넘은 인민재판이라는 의견과 응당의 대가이며 재발방지 차원에서라도 필요한 일이라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충청투데이는 실제 대전시민의 의견과 관계 전문가들은 과연 이번 현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직접 들어봤다. 

<사적제재, 도 넘은 인민재판이다>

-사이버 테러급 인민재판에 동참하는 사람 중 단 한 번이라도 누군가에게 피해를 주거나 잘못을 저지른 자는 없을까. 가해자를 옹호 하는 건 절대 아니나 이런 식의 무분별한 신상 털기는 정의구현이라는 가면 속에 숨어 화풀이 대상을 찾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아 보인다. (중구·30대 김 모 씨)

-사적제재는 분명히 문제가 된다. 이번 사건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도 이 같은 신상털기가 당연하듯 유행처럼 번질까 우려스럽다. 실제 확인되지 않은 정보들로 하여금 억울하게 가해학부모로 몰린 식당도 있었던 만큼 사람들이 무자비한 인민재판 또한 제3의 폭력이 될 수 있음을 반드시 인지했으면 좋겠다. 사회에 혐오나 불신이 팽배해지는 건 이유가 어찌됐건 바람직한 건 아니라고 본다. (대덕구·60대 오 모 씨)

-자영업자였던 대전 가해학부모들만 유독 더 심하게 공격을 당하는 것 같다. 반면 사회적 고위층으로 알려진 서이초 교사 가해학부모의 신상은 상대적으로 덜 드러났다. 학교폭력에 연루된 정치인의 자녀들도 마찬가지다. 이를 보며 대중들도 상대를 봐 가면서 권력의 정도에 따라 대응하는 것 같아 마음이 불편했다. (유성구·40대 김 모 씨)

-가해자가 운영했다고 알려진 가게가 우리 매장과 멀지 않다. 오가다 현장을 봤는데 섬뜩했다. 누구 한 명 더 죽어야 끝나겠구나 싶었다. 아이들 사진까지 공개되고 사람들의 분노가 물리적으로도 표출되니 마치 다른 세상에 있는 기분이었다. 가해자가 잘못했다고 생각은 하지만 상황이 너무 극단적으로 치닫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유성구·40대 A 씨)

-처음 SNS에 가해자들의 신상이 공개됐을 땐 느끼지 못했지만 이젠 신상을 공개하고 있는 사람이 영웅 심리나 자아도취에 빠진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사람들은 글쓴이의 말을 전적으로, 완전히 믿고 있는 분위기다. 한발만 삐끗해도 생사람을 잡을 수도 있겠다 싶은 생각이 든다. 그런 사태가 벌어져도 당연히 책임을 지는 사람은 없지 않겠나.(서구·30대 김 모 씨)


<정의구현, 응당의 대가다>

-대한민국 사법권을 믿지 못하는 시민의 분노한 민심으로 생각한다. 신상공개가 안되면 유사 범죄는 끊임없이 발생할 것이다. 추락한 교권을 빠르게 회복하고 본보기를 삶기 위해서라도 필요한 부분이다. (서구·20대 이 모 씨)

-내 가족의 일이라고 생각하면 피가 거꾸로 솟는다. 절대 과하지 않다고 보며 뿌린 대로 거둔 것 뿐 인과응보라고 생각한다. 이번 신상털기로 공론의 장이 형성되고 악성민원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국회에 닿게 돼 법 개정, 수사기관의 움직임으로 이어지게 된다면 순기능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서구·20대 정 모 씨)

-무고한 피해자가 생기는 건 반대하나 확실한 가해행위에 대한 비판여론과 행위자들의 신상공개는 재발방지 도움을 줄 수 있기에 찬성하는 바다. 다만 그 과정에서 논점을 흐리는 정쟁화나 이념 갈등으로의 변질돼선 안 된다. (동구·50대 이 모 씨)

-내 어머니도 교사셨다. 대전 교사의 무고한 희생을 보면서 분노가 일었다. 거짓 없이 팩트만 공유된다면 신상을 공개하는 행위도 괜찮다고 생각했다. 신상 공개로 인해 사람들의 관심도 더욱 커졌고 어떤 변화의 계기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한다. 두 번 다시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데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서구·30대 정 모 씨)

-가해자의 매장이 주로 오가는 길목에 있다. 가게가 엉망이 된 것을 보곤 속이 시원했다. 달리 처벌할 방법도 없다는 것 같은데 본인들도 수모를 겪어봐야 잘못을 깨닫지 않겠나. 법이 안되더라도 어떤 식으로든 벌을 받아야 또 다시 이런 나쁜 사람들이 나오지 않을 거라고 본다.(유성구·60대 김 모 씨)

 

최윤서·조선교 기자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