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자립도 낮은 대전…해법은?]
28일 신재생에너지법 개정안 시행
공공주차장 신재생에너지 의무화
에너지자립 낮은 상황서 소극 대응
태양광, 지리적·환경적 여건 적합

태양광.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태양광.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충청투데이 김중곤·조사무엘 기자] 지역이 쓸 전기는 지역 스스로 생산해야 하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특히 빨간불이 켜진 곳은 전력자립도가 3% 수준에 불과한 대전이다.

탄소중립 흐름에 맞춰 화석연료에 의존할 수도 없는 상황인 만큼 대전의 전력자립도 향상을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중 특히 태양광에 집중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전력공사의 ‘2024 한국전력통계’에 따르면 태양광은 지난해 전국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54%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차세대 에너지원이다.

지난해 전국 태양광 발전량은 3272만 4540메가와트시(㎿/h)로 바이오(1021만 9489㎿/h), 수력(430만 313㎿/h), 풍력(333만 7710㎿/h)보다 훨씬 많았다.

물이 위에서 아래는 흐르며 전기를 만드는 수력은 주로 산간지역에, 거센 바람을 활용하는 풍력은 주로 해안가에 위치해야 하는 것과 달리, 태양광은 상대적으로 지리적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평가된다.

문제는 석탄과 원자력 등 과거 핵심 전력생산에서 벗어나 있던 대전이 현재 신재생에너지, 태양광에서도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대전의 태양광 발전량은 6만 8136㎿/h로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2%밖에 되지 않는다.

17개 시·도 가운데 서울 다음으로 적은 양이며, 광역시와 비교해도 대전 다음으로 적은 울산(15만 3584㎿/h)보다도 2배, 심지어 대구(46만 3334㎿/h)와는 7배 가까이 차이 난다.

첨단기술이 사회 곳곳에 스며들고 기후위기에 대응해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해야 하면서, 지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다.

단적으로 오는 28일 신재생에너지법 개정안 시행에 따라 1000㎡(80면) 이상 규모의 공공주차장을 운영하는 국가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대전환경운동연합이 지난달 30일 성명을 내 ‘대전시는 제도 시행을 한 달도 남기지 않은 지금까지 준비도, 계획도 없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환경단체들은 성명에서 "시 에너지정책과에 확인한 결과 ‘현재 공공주차장 태양광 설치와 관련된 계획이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시가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한 정책적 의지와 실질적 고민이 없다는 방증이다"고 지적했다.

또 "공공주차장 태양광 설치 의무화는 시가 재생에너지 전환 도시로 나아가기 가장 손쉬운 출발점이다"며 "주차장은 구조적으로 태양광을 설치하기 용이하며 비용 대비 발전효과도 높다"고 주장했다.

김현중 국립한밭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는 "탈탄소라는 시대적 흐름에 신재생 에너지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태양광은 대전의 지리적·환경적 여건상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된다"고 강조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