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시·도 중에서도 최하위
인구 규모 비슷한 광주는 99.06%
충남 157%·세종 99%·충북 10%
신축 건물 전력 확보 제도화 해법
[충청투데이 권오선 기자] 충청권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 대전과 세종, 충북, 충남의 전력 자립도 격차가 확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산업통상자원부 ‘2024 지역에너지통계연보’에 따르면 대전의 2023년 전력 소비량은 총 9922GWh, 발전량은 304GWh로 전력자립도는 3.06%에 그쳤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최하위권이며, 충청권 4개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한 자릿수에 머무르며 사실상 외부 공급에 의존하는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전의 전력자립도는 2020년 1.79%, 2021년 1.87%, 2022년 2.94%에 이어 2023년 3.06%로 다소 상승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높지 않은 수치다.
특히 비슷한 인구 규모를 가진 광주시(99.06%)와 비교했을 때에도 큰 격차를 드러냈다.
충청권 내에서도 전력자립도 편차는 뚜렷했다.
세종은 지난해 발전량 3913GWh, 소비량 3935GWh로 99.44%의 자립도를 기록하며 대전과 뚜렷한 대조를 이뤘다.
이는 자체 전력 생산 기반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지만, 최근 신재생에너지 설비 확대와 기반 시설 확충 등을 통해 에너지 자립률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충북은 같은 해 발전량 3192GWh, 소비량 2만 9451GWh로 전력자립도 10.84%를 기록했다.
전국 9개 도 가운데 하위권에 속했지만, 최소한 외부 의존 일변도에서 일정 부분 벗어난 수준이다.
반면 충남은 발전량(10만 5984GWh)이 소비량(4만 9627GWh)을 넘어서면서 157.65%의 자립도를 기록했고, 이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자체 발전량이 적을 경우, 외부 전력망 의존도가 높아져 폭염·한파·정전 등 기후·재난 상황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학계에서는 대전의 전력자립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건물 등에 대해 스스로 전력을 확보한 이후 건립될 수 있도록 제도적 설계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강현구 한남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부교수는 "대전시의 전력자립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신축 건물에 일정 수준의 자체 전력 확보 의무를 부좌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며 "또한 대전 유류부지 등에 발전소나 공공기관을 조성할 때, 일부 경제적 부담이나 공간 제공을 의무화하는 정책이 마련된다면 자립도 향상에 힘이 실릴 것"이라고 말했다.
권오선 기자 ko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