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봉투의혹 등 해명간담회서 전면부인
오송참사 국조 "의도 분명… 정치 탄압"
"지금과 같은 상황 또 오면 중대결심"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대가성 돈 봉투’ 수수 의혹 등으로 경찰에서 조사를 받은 김영환 충북지사가 21일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후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가진 출입기자간담회에서 자신에게 돈 봉투를 건넨 의심을 받고 있는 윤 모 씨의 쪽파 양액재배 시험포 비닐하우스에 도비 등 어떤 지원도 없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지난 19일 충북경찰청에 출석했을 때 경찰이 이 부분에 대해 집중조사를 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양액재배와 관련, "농민들이 (나에게) 많은 영감을 줬는데 그들은 특혜를 받은 적이 없다"며 "밖에서는 스마트팜이라고 알려졌지만 비닐하우스 3동"이라고 했다.
그는 비닐하우스 소유주인 윤 씨에게 "(도에서) 단 100원도 주지 않았다"고 거듭 대가성을 부인했다.
김 지사는 12시간 조사를 받으면서 수사관들에게 양액재배 비닐하우스에서 쪽파를 12번 재배하는 부분 등을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며 "저는 부끄러운 일을 하지 않았다"고 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지난달 끝난 오송참사 국정조사에 대해서도 불만을 토로했다.
여당 주도로 실시된 이 국정조사에서 김 지사는 참사 당시인 2023년 7월 15일 지하차도 내부 상황이 담긴 CCTV를 보지 않고도 "봤다"고 진술한 부분 등에 대해 위증혐의로 고발됐다.
김 지사는 위증혐의 조사를 받기 위해 영등포경찰서와 출석을 조율중이라고 했다.
김 지사는 "여당 의원이 다수였던 국정조사는 의도가 분명했다"며 "정치탄압"이라고 했다.
이 의도에 대해선 검찰이 자신을 불기소 처분한 것이라고 했다.
검찰은 오송참사와 관련, 이범석 청주시장을 중대재해처벌법상 중대시민재해 혐의로 불구속기소한 반면 김 지사는 기소하지 않았다.
김 지사는 다만 오송참사에 대한 자신의 정치적 책임을 인정하고, 치유 극복 등에 대한 입장은 "정부와 다르지 않다"고 했다.
김 지사는 "지금과 같은 상황이 또 오면 중대한 결심을 하겠다"면서도 중대 결심이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김 지사는 "돈은 받았는데 대가성은 없다는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무슨 돈을 받았다는 것이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한편 연합뉴스는 이날 지역 체육계 인사들로부터 금전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 김 지사가 핵심 피의자 중 한명인 윤두영 충북배구협회장으로부터 수천만원을 수수한 혐의까지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경찰은 김 지사가 사업을 하는 체육계 인사들에게서 여러 차례 뇌물을 수수했다고 보고 구속영장 신청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언론매체는 또 김 지사가 경찰의 압수수색이 적법하다고 본 법원 결정에 불복해 재항고했다고 보도했다.
김 지사는 법원의 준항고 기각 결정에 불복해 20일 청주지법에 재항고장을 제출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