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세종·24일 대전·27일 충남
대전교도소·세종보 등 쟁점 될 듯
야당 단체장 첫 시험대… 공방 예상

(왼쪽부터 시계방향)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영환 충북지사, 김태흠 충남지사. 
(왼쪽부터 시계방향)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영환 충북지사, 김태흠 충남지사. 

[충청투데이 조사무엘 기자] 다음달 시작되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국정감사에서는 대전과 세종, 충남 등 충청권 광역단체들이 오랜 만에 감사를 받게 될 전망이다.

특히 이들 광역단체장 모두 야당 소속인 만큼 여당의 집중 공세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공직사회 내부 긴장감도 고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국감은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정치전’ 성격이 아니라 현안 점검을 위한 자리가 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24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충북을 제외한 충청권 지자체들은 ‘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예산 집행 현황, 주요 현안 사업 추진 성과, 정책 이행 점검 자료 등을 정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내달 20일 세종시를 시작으로 24일 대전시, 27일 충남도를 찾아 현지 감사를 벌인다.

지난해 국감을 받은 충북도를 제외하면 대전시와 세종시는 2022년 이후 3년 만, 충남도는 2023년에 이어 2년 만에 피감 대상에 올랐다.

행안위는 피감 기관 수를 고려해 소속 의원을 감사 1·2반으로 각각 나눠 감사를 진행한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인천시·전북도와 함께 1반에, 세종시는 강원도·대구시·경남도과 함께 2반에 배정됐다.

충청권 지역구 의원으로는 민주당 박정현(대전 대덕구) 의원과 국민의힘 박덕흠 (충북 보은옥천영동괴산) 의원이 1반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게다가 국감을 앞둔 현재의 정치적 긴장감은 어느 때보다 높다.

올해 국감은 단체장 임기 성과를 평가하는 시험대인 동시에 여야가 정면으로 맞붙는 정치전의 성격이 강하다는 해석이 나온다.

충청권 단체장 모두가 야당 소속이라는 점에서 민주당의 강한 공세가 예상될뿐더러,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둔 만큼 각 당의 공방 수위는 한층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번 국감이 정치적 공방에만 치우친다면 지방선거를 앞둔 충청 민심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번 국감에서는 대전충남 행정통합, 대전교도소 이전, 행정수도 세종 완성, 세종보 해체·존치 문제,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지역 대책 등 지역 현안들이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지방선거를 불과 몇 달 앞둔 시점에서 열리는 만큼, 정치적 공방의 장이 되기보다는 지역 정책 성과와 현안을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실질적인 기회가 돼야 한다는 주문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국감이 본래 취지인 감시·견제와 현안 점검에 집중하지 못하고 정쟁으로 흐른다면 민심의 피로감만 커질 수 있다"며 "정치적 공격이 아닌 생산적 정책 질의로 교도소 이전이나 혁신도시 등 지지부진한 지역 현안 해결의 물꼬를 트는 자리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