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복구 시스템, 민생 서비스 중심으로 대안 마련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망 복구가 8일째에도 뚜렷한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주요 행정서비스 차질이 길어지면서 정부가 긴장 속에 복구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했지만, 복구율은 여전히 10%대에 머무르고 있다.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번 화재로 마비된 정부 전산시스템 647개 가운데 이날 오전 6시 기준 정상화된 것은 115개에 불과하다. 복구율은 17.8%로, 전날 밤과 동일해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했다.
정부는 연휴 기간을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보고 인력을 대폭 늘렸다. 현장에는 공무원 220명, 사업자 상주인력 570명, 전문기술 지원인력 30명 등 약 800명이 투입됐다. 삼성SDS, LG CNS,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민간·공공 분야의 전문 인력도 현장 지원에 나섰다. 그러나 복구 속도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가장 큰 걸림돌은 시스템 간 연계다. 직접적인 화재 피해가 없던 전산실도 전소된 5층 전산실과 연결된 경우가 많아 부분 가동이 어렵다는 설명이다. 특히 피해가 집중된 7-1·7·8 전산실에는 전체 시스템의 절반 이상인 330개가 몰려 있었고, 이 가운데 96개는 완전히 소실됐다. 나머지 시스템도 분진 피해가 심해 복구작업조차 시작하지 못한 상태다.
정부는 피해 장비를 대구센터로 이전해 클라우드 기반 재구축을 추진 중이다. 다만 장비 입고와 인프라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추가 2주가 필요해 최소 한 달 이상 걸릴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는 28일을 복구 목표 시점으로 잡았다. 클라우드존 인프라가 갖춰지면 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부는 장기화에 따른 국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우선 복구 대상 시스템을 선별하고, 행정서비스 중 국민 생활과 직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대체 서비스와 민원 대응체계를 마련해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