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자 등 5명 추가조사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정부 전산망을 마비시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원인을 밝히기 위한 경찰의 4일차 현장 감식이 진행됐다.
경찰은 발화 지점을 특정하기 위해 전산실 내부를 정밀 스캔하고, 배터리 전원 차단 여부를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30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이날 오전 10시 30분경부터 국정자원 전산실에서 합동 감식을 진행 중이다.
전담수사팀은 3D 스캐너를 이용해 무정전·전원(UPS)용 리튬이온배터리가 놓였던 공간을 입체적으로 구현해 발화 지점을 세밀하게 확인했다.
앞서 경찰은 최초 발화 원인으로 지목된 배터리 6개를 확보해 안정화 작업을 진행했고, 이날까지 모두 국과수에 의뢰를 완료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장에서 발견된 전동드릴 등 작업 공구 역시 감식 대상에 포함됐다.
이밖에 경찰은 화재 발생 당시 작업자와 유지보수 업체 관계자 등 5명을 추가로 불러 조사했다.
이들은 앞서 소환된 7명과 마찬가지로 “배터리 전원을 차단한 뒤 40분이 지나 불꽃이 튀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현재 확보한 CCTV 영상을 분석 중이지만, 발화 지점을 직접 비추는 화면은 없어 감식 결과가 화재 원인을 밝히는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찰 관계자는 “배터리 자체 발화인지, 외부 요인이 영향인지 조사 중이다”라고 말했다.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