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직장인들. 사진=연합뉴스.
직장인들. 사진=연합뉴스.

충북지역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충북도에 따르면 통계청의 올 2/4분기 실질 지역내총생산이 전년 동기 대비 5.8%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같은 성장률은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압도적 1위로, 전국 실질 지역내총생산 성장률이 0.4%인 점을 감안하면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도는 반도체 업황 개선과 글로벌 인공지능 수요 확대 등에 힘입어 전기장비, 반도체·전자부품 생산이 급증한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충북 산업의 43.3%를 차지하는 광제조업의 성장률이 12.0%로, 전국 평균 2.0%과 큰 차이를 보여 충북 산업의 전반적인 회복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수출 증가율이 3월 31.6%, 4월 35.9%, 5월 39.5%, 6월 29.8% 등 상승세를 이어가며 충북경제 회복을 견인하고 있는 점도 주목할만한 점이다.

서비스업은 소폭이지만 1.8%의 성장률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점도 회복 전망을 크게 하는 대목이다.

소비 심리 회복에 따라 문화·여가, 전문·과학·기술서비스, 보건, 정보통신, 금융 등 서비스업 전 분야의 생산이 전반적으로 늘어났다는 점 때문이다.

다만 아쉬운 것은 건설업 분야의 침체다.

전반적인 회복세 속에서 건설업 분야는 9.2% 감소, 건설경기의 회복이 절실하다.

전국적 건설업 성장세가 -10.8%라는 점에서 비단 충북지역에 국한된 문제는 아니지만 건설업종의 파급효과를 감안하면 건설 경기 회복을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이를 위해선 정책적 지원과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

민간기업의 건설 분야 투자 촉진을 위해선 과감한 관련 정책 추진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세부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건설 분야 뿐만 아니라 경제 전반에 걸친 회복세를 이어가고 이를 지역경제 활성화의 동력으로 삼기 위해서도 정책적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

그동안 국내외 경기 침체와 수출 부진 등으로 어려움을 겪어오다 뚜렷한 회복세로 돌아선 만큼 면밀한 경기 분석과 지원 방안을 모색, 한 걸음 더 성장할 수 있는 도를 비롯한 자치단체 차원의 정책적 지원은 반드시 수반돼야 하는 요인이라는 점을 간과해선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