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생물학 기반 바이오 특구·고압가스 실증 우주특구 모두 지정
총 466억 원 투입 최대 2031년까지 운영… 지역 산업 기반 강화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시가 국가 첨단산업 육성의 중심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21일 시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한 규제자유특구 및 글로벌 혁신특구 공모에서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 바이오제조 글로벌 혁신특구’와 ‘우주기술 연구·활용 규제자유특구’ 두 개를 동시에 지정받았다.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 바이오제조 특구’는 내달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시는 지난해 12월 후보지로 선정된 이후 관계 부처와의 협의 및 심의를 거쳐 이날 최종 지정됐으며, 총사업비 272억 원을 투입해 2029년 12월까지 운영할 계획이다. 사업 성과에 따라 최장 2031년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합성생물학은 유전자, 단백질 등 생물체의 구성 요소를 공학적으로 설계·제작하는 기술로, 기존 바이오 기술보다 빠르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분야로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이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도 지난달 세계 최초로 '합성생물학 육성법'을 제정했다.
시는 이에 발맞춰 국가 차원의 제도 시행 전인 2026년보다 앞서 선제적으로 기술 실증과 사업화를 추진하게 됐다.
시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AIST, 대전테크노파크 등과 협력해 실증 기반을 조성하고, 공공 생산시설과 맞춤형 R&D를 통해 기업의 신제품 개발과 사업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LMO 관련 위해성 심사 간소화 등 규제 특례를 통해 기업의 기술 상용화 기간을 단축하고, 행정 부담을 줄이는 성과도 기대된다.
‘우주기술 연구·활용 규제자유특구’는 유성구와 대덕구 일원 515만㎡ 부지에 조성된다.
운영 기간은 내달 1일부터 2029년 12월까지이며, 총 194억 원이 투입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AIST 등 11개 우주 관련 기관과 기업이 참여해 고압가스를 활용한 우주추진 부품의 시험·제작·인증 등 전주기 실증을 수행한다.
이 특구는 약 9개월간의 협의와 심의, 실무회의를 통해 마련됐으며, 실증 총괄, 기업 지원, 부품 개발 등 민·관 협력체계가 구축됐다. 기존 국가 주도 체계에서 벗어나 민간 중심의 우주기술 실증과 상용화를 추진할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큰 변화로 평가된다.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 관련 규제를 일정 부분 유예하거나 완화함으로써 고압가스를 활용한 부품을 실제 환경에서 시험하고 인증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이는 민간 기업의 기술 개발 속도를 높이고, 우주산업의 사업화 진입 장벽을 낮추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시는 양대 특구 운영을 통해 첨단 기술 실증을 가속화하고, 생명과학과 우주항공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특구 지정을 통해 대전이 실증과 사업화를 겸비한 과학기술 중심 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민간 기업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미래 전략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견인하겠다”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