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국민주권의 수호자 동상이 설치돼있다. 2025.4.6 사진=연합뉴스.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국민주권의 수호자 동상이 설치돼있다. 2025.4.6 사진=연합뉴스. 

6.3대선 예비후보들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차기 정부 국정과제를 선점하기 위한 지자체들의 공약 제안이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대선은 지역 현안 추진에 더 없는 기회다. 일단 공약으로 선택되면 압력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다. 이번 대선은 당선인이 인수위원회를 꾸리지 않고 즉시 업무에 돌입해 어느 때보다 공약화의 중요성이 크다. 지자체마다 많게는 수십 건의 공약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백화점식으로 공약을 나열하는 것 보다 가능성이 있는 공약을 선별할 필요가 있다.

대전시와 충남도의 가장 큰 공약은 대전·충남 행정통합이 아닌가 싶다. 광역지자체 끼리의 행정통합은 국가차원의 지원이 절대적이다. 두 시·도 통합이 전국적 모델이 될 수 있도록 공약을 선점해야겠다. 충청내륙철도·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건설, 대전교도소 이전 등도 관철해야할 숙제다. 충북은 청주국제공항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 충청권광역급행철도(CTX) 조기 추진이 관심사다. 세종시는 행정수도 완성 관련 공약 10건을 비롯해 3개 분야 26개 사업을 대선 공약과제로 선정했다. 이중 행정수도 세종시 명문화, 대통령실과 국회의사당 세종시 이전 등은 전국적 이슈다.

대선 캠프마다 지역 공약이 밀려들어와 반영여부를 놓고 애를 먹고 있다고 한다. 충분히 그럴 만 하다. 그럼에도 단 하나라도 더 끼워 넣으려는 게 지자체의 욕심이다. 어느 지자체의 공약이 몇 개 반영됐는지 성적표는 조만간 드러날 것이다. 결정된 다음에 아쉬움을 토로해봤자 무슨 소용이 있나. 역대 대선에서 충청권 공약은 수도권이나 영호남에 밀린 경향이 없지 않았다. 충청권 캐스팅보트를 외치지만 말고 공약 선정으로 이어질 수 있게끔 해야 한다.

지자체장은 물론 국회의원 등 지역역량 총 동원은 당연하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서울에 집무실까지 차리고 대선 공약 챙기기에 나섰다고 한다. 강 시장은 대선 전까지 광주와 서울을 오가며 정당 관계자나 대선 후보들을 만나 공약 반영을 요청할 계획이다. TF(태스크포스)를 꾸린 지자체도 보인다. 예비 후보들의 경쟁만큼 공약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