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 흔들리는 기술강국]
국내 50세 이상 연구원 10년 새 2배 급증
은퇴, 저출산에 과학기술 인력 미스매칭
퇴직 과학기술인 활용 시급, 정치권 법안 발의
경북도, 전국 최초 은퇴과학자 마을 조성

연구원. 그래픽=김연아 기자
연구원. 그래픽=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고경력 과학기술자가 은퇴 후에도 연구, 산업에 기여하도록 하는 전주기 활용법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커지고 있다.

날로 심화하는 세계 기술패권 경쟁은 결국 인적 자원이 좌우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저출산에 직격탄을 입은 젊은 인재 양성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다는 것이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가 지난해 9월 발표한 정책연구과제 ‘과학기술분야 출연(연) 은퇴 과학기술인-활동분야 간 연계 플랫폼 설계 연구’를 보면, 국내 50세 이상 연구원은 2011년 4만 1932명에서 2021년 10만 1750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당장 은퇴를 앞둔 60세 이상 연구원도 같은기간 6020명에서 10년 새 2만 2678명으로 급증했다.

고경력의 중장년 과학기술 인력이 매해 연구 현장을 떠나야 하며, 기술 산업의 인력 미스매칭도 심화할 것이란 전망이다.

단적으로 NST의 정책연구 보고서는 바이오산업에서만 2024~2028년 4만 8796명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저출산 탓에 과학기술 인력의 순수 유입을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은퇴한 또는 예정인 고경력 연구자를 계속 활용하는 전주기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해당 정책연구는 "은퇴 고경력 과학기술인 활용은 인력 수급 문제와 산·학·연의 수요를 모두 충족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라며 "이들 또한 은퇴 후에도 중소벤처기업 기술자문, 전문분야 연구수행 등을 희망한다"고 적었다.

정치권에서도 우수 과학자의 은퇴 후 활용을 법률적으로 뒷받침하는 입법이 이어지고 있다.

국회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 대전 유성을)은 정부가 퇴직 과학기술인의 활용 및 지원에 필요한 시책을 수립·추진하도록 하는 내용의 과학기술기본법 개정안을 17일 대표발의했다.

황 의원은 "시니어 과학기술인은 오랜 과학기술 경험과 학식으로 국가 발전을 이끌 수 있는 소중한 인적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은퇴 과학자를 발 빠르게 확보하려는 지자체 차원의 움직임도 주목할 만하다.

경북도는 지난 10일 경북도청신도시 2단계 특화주거용지 내에 ‘K-과학자마을 조성사업’ 착공식을 열었다.

단독형 주택과 공유사무실, 콘퍼런스홀, 라운지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조성해 은퇴과학자들을 한 곳에 모으고 이들의 연구, 후학 양성, 창업 등을 지원해 지역의 성장 동력을 창출하겠다는 것이다.

충청권도, 특히 과학도시를 표방하는 대전도 이같은 고경력, 은퇴 과학자를 밀집시킬 전략이 요구된다.

한 원로 과학자는 "대전에도 은퇴 과학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공유오피스가 생겨야 한다"며 "과학자의 연구를 지원하는 한편, 이들이 지자체의 맞춤형 과제나 자문을 수행한다면 그것이 상생"이라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