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안 발의하려던 야권, 보류로 급선회 하며 숨고르기
비대위원장 추대한 국힘 헌법재판관 임영 등 여전히 반대
[충청투데이 김대환 기자] 민주당 등 야권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안 발의를 26일로 유보하면서 탄핵정국이 새 국면을 맞았다.
야권은 한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을 미루며 헌법재판관 임명 여부 등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지만 결과에 따라 여당과 정부를 향한 공세 수위가 한층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반면 권영세 비대위원장을 추대하며 당 지도부 공백사태 수습에 속도를 내고 있는 국민의힘은 여전히 한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 반대 및 특검법 재의요구권 행사를 압박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4일 한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하려던 계획을 뒤집고 이를 유보하기로 결정했다.
헌법재판관 임명과 탄핵안 재의요구권 행사 등을 높고 한 권한대행이 국회의 논의와 합의를 건론하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자 민주당은 즉각적인 탄핸 추진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당 지도부는 26일 국회 본회의에서 헌법재판관 후보자의 임명 동의가 이뤄졌을 때 한 권한대행이 이들을 즉시 임명하는지 여부를 지켜보기로 했다며 입장을 선회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한 권한대행을 향해 상설특검 후보 즉시 추천과 내란특검법과 김건희특검법 즉시 공포 등도 촉구했다.
민주당은 일단 한 권한대힝이 26일 요구사항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곧바로 탄핵안을 발의하고 27일 본회의에 보고하겠다는 입장이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26일이 마지막 기회“라면서 ”한 권한대행은 국민의 명령을 받들어 내란 종결에 적극 협조하라"고 압박했다.
특히 민주당은 한 권한대행이 비상계엄 당일 밤 국무회의를 소집하는 등 내란에 동조했고 내란 상설특검 임명 의무를 다하지 않고 수사를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국민의힘은 비상대책위원장으로 권영세 의원을 추대하며 당 수습에 한 발 더 내디뎠다.
탄핵 정국에서 당을 이끌 비대위원장으로 수도권 5선 중진 의원을 택한 것은 '안정형' 비대위를 꾸리겠다는 뜻으로 분석된다.
권성동 원내대표와 '투톱체제'를 유지하면서 안정감 있는 중진 의원을 전면에 내세워 비상계엄 선포 사태 이후 벌어지고 있는 당 내부 리스크를 최소화하겠다는 판단d로 보인다.
하지만 권 원내대표에 이어 비대위원장까지 친윤계가 차지하면서 대야 강경노선이 한층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권 비대위원장은 윤석열 정부 초대 통일부 장관과 인수위 부위원장을 지내는 등 당내 대표적인 친윤계 중진의원으로 꼽힌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은 여전히 한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이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강조하며 반대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고 있다.
특히 국민의힘은 민주당 등 야권이 한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을 추진할 경우 의결정족수가 ‘151’이 아니라 ‘200’이라는 점을 연일 강조하며 민주당이 정국 혼란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