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반대표 85표… 적지 않은 수치
초당적 협력으로 현안·민생 챙겨야
시민들 “계파 갈라 싸우는 건 불필요”
“헌재, 법 기반으로 재판 진행하면 돼”

국회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안' 가결. 이미지=연합뉴스 제공
국회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안' 가결. 이미지=연합뉴스 제공

[충청투데이 박영문·조사무엘·함성곤 기자] 국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킨 12·3 비상 계엄 사태에서 촉발된 혼란 상황이 국회의 헌정 사상 세 번째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로 일정 부분 수습 국면에 돌입했다.

앞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여부에 대한 최종 판단 등 지금의 국가적 혼란을 종식 시킬 기회는 ‘민의의 전당’인 국회를 넘어 헌법재판소의 손에 쥐어 졌다.

대통령 탄핵안 가결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극으로 치달았던 정치권 등의 갈등과 반목을 넘어 국정 안정을 위한 협치와 화합이 요구되는 이유다. 특히 중도 성향 유권자가 많아 민심의 무게추로 평가되는 충청권에서는 정치권과 시민을 막론하고 국가 안정과 지역 발전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6일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은 지난 14일 국회에서 가결됐고, 조만간 이에 대한 헌재의 심리가 본격화 될 예정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헌정사상 세 번째 현역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 가결인데, 재적의원 300명 중 204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반면 반대 85표, 무효 8표, 기권 3표 등 윤 대통령의 탄핵에 동의하지 않는 의견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 계엄 사태 이후 대부분의 국민 여론은 윤 대통령의 탄핵으로 기울어진 양상이지만 여당 내부와 일부에서는 여전히 윤 대통령을 옹호하는 분위기가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 정치권 여야 인사들은 앞으로 초당적인 협력을 통해 지역 현안과 민생을 챙겨야 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은 "최근 2주 동안 비상계엄 사태로 탄핵정국이 시작됐고, 모든 관심사가 (탄핵으로) 매몰돼 정작 지역에 시급한 현안들이 등한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미 탄핵은 헌법재판으로 넘어간 상황에서 각자의 일터에서 자기의 역할을 하면된다"며 "냉정하게 우리 지역에 필요한 예산, 지역 현안들이 관철되도록 총력을 쏟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대전 중구)는 "탄핵은 탄핵대로 가고 있으니, 이제는 정쟁이 아닌 오로지 민생에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생이 바닥에 떨어지고, 국내외 대외관계가 극에 달한 지금 당과 상관없이 이러한 문제를 빠르게 수습해 나가기 위해 힘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시민들 역시 대통령 탄핵에 대한 판단은 헌재의 몫으로 남기고, 불필요한 정쟁보다는 국정 안정을 위한 협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대전 서구에 거주하는 김윤호(70) 씨는 "탄핵안 가결 후 대통령 공백으로 나라가 혼란스러운 와중에 아직도 계파를 가르고 싸우는 건 불필요해 보인다"며 "의원들은 여·야 상관없이 국민의 뜻을 이해하고, 헌법재판소는 오로지 법을 기반으로 대통령에 대한 재판을 진행하면 되는 일"이라고 말했다.

남호상(47) 씨는 "지금 상황에서는 한 쪽이 일을 처리하기보다는 같이 해야 한다. 누군가 우선권을 잡으면 싸움 밖에 되지 않는다"며 "탄핵 정국에서 책임이 큰 여당이 양보를 해야 되지만, 야당도 본인들이 잘해서 대통령이 탄핵된 것은 아니라는 걸 알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영문·조사무엘·함성곤 기자 etouch84@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