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 시정질문서 대책 마련 필요성 지적
임기내 1만호 공급 위해 민간·LH 물량 확보 필수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시가 추진 중인 2만 호 규모의 대전형 청년주택 공급 사업에 대해 안정적 진행과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송활섭 대전시의회 의원(무소속, 대덕 2)은 20일 제282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이장우 대전시장을 상대로 청년주택 공급 방안과 관련된 문제점을 점검했다.
송 의원은 “대전은 1인 가구 비율이 36.3%에 달하며, 그중 절반이 청년층”이라며 “청년 정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주거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전의 청년 인구 비율은 27.7%로, 서울을 제외한 특광역시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청년 인구 순유입 증가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민선 8기 내 1만 호, 2030년까지 추가 1만 호를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회 초년생과 신혼부부를 위한 청년주택은 수요자 맞춤형 특화 설계를 반영해 임대형과 분양형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송 의원은 “임기 내 1만 호 목표를 위해 시가 직접 공급할 수 있는 물량은 1628호에 불과하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민간 및 LH 물량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시장은 “현재 민간 및 LH 물량 8425호를 포함해 임기 내 1만 호 공급 목표를 초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며 “내년까지 민간 및 LH에서 4702호, 시 직영으로는 구암·신탄진 등 2개소에서 662호를 포함한 1167호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송 의원은 청년 선호도가 낮은 지역의 기존 주택 매입과 민간사업자의 청년주택 의무 건립 비율(3%) 규정이 사업 지연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우려하며 “청년들이 실제로 선호하는 주택을 공급해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2022년 청년주택 선호도 조사 결과를 반영해 역세권 중심, 평면 다양화, 고급화된 디자인을 고려한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라며 “청년들이 실제로 선호하는 주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