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 의원 “市, 법무·기재부와 문제 해결 나서야”
청년 주택·대전역 개발 문제도 주요 현안으로 부상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 교도소 이전 문제가 대전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도마 위에 올랐다.
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는 14일 제282회 제2차 정례회 의사일정에 따라 대전시 도시주택국 소관 주요업무보고를 청취하고, 행정사무감사에서 교도소 이전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영삼 의원(국민의힘, 서구2)은 “대전 교도소 이전은 도심 발전과 주민 생활 개선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제”라며 “시가 법무부와 기획재정부와의 협력 강화를 통해 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또 “교도소 이전은 단순한 시설 이전이 아닌 지역 사회 발전과 주민 편의 증진을 위한 중요한 발판”이라며 “정부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 교도소는 현재 대전 도심 내 위치해 있어, 주변 주민들의 생활 환경과 상권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왔다.
특히 교도소 인근 주거지에서는 시설 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청년 인구의 유출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대전형 청년주택 공급과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구체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선광 의원(국민의힘, 중구2)은 “대전형 청년주택이 지역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서구와의 협력을 통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의원은 중구와 대덕구 지역의 단독주택 및 빌라촌을 대상으로 추진 중인 ‘뉴빌리지’ 사업을 언급하며 “기반시설이 열악한 지역의 생활환경 개선이 중요한 만큼 국토부 공모를 통해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활섭 의원(무소속, 대덕구2) 역시 대전형 청년주택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공실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청년주택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공실률이 높아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며 “단순한 주택 공급에서 벗어나 청년들이 실제로 거주하고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주화 의원(국민의힘, 중구1)은 제이더타워(구 메가시티) 공사 재개와 관련한 안전 문제를 지적하며, 데이터센터 유치에 따른 전자파와 화재 위험 등에 대한 철저한 검토를 주문했다.
그는 “원도심 상권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소상공인 상생주차장 조성 사업이 2021년 계획된 294면에서 올해 58면으로 축소됐다”며 “주차장 면수 축소와 사업비 증가 등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더욱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