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 상임위원장에게 듣는다]
교육도시 자리매김 비전 제시
전 생애 아우르는 교육 정책 추진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아이들이 행복하고 부모들이 안심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드는 것이 교육위원회의 가장 중요한 목표입니다."
이금선 대전시의회 교육위원장은 대전이 진정한 교육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한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아부터 청년까지 전 생애를 아우르는 교육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그의 비전은 대전교육의 미래를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담고 있다.
그는 먼저 2024년 신설된 교육정책전략국의 역할을 언급하며, 대전의 교육 정책이 보다 폭넓고 체계적으로 확장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 위원장은 "교육정책전략국 신설로 교육의 범위가 유아부터 대학, 평생교육까지 확대됐다"며 "과학기술 중심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교육 인프라를 활용하고, 동료 의원들과 소통하며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현장 중심의 의정활동도 이 위원장의 철학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는 최근 대전 최초의 유·초·중 통합학교인 둔곡초·중통합학교 개교를 앞두고 시설 점검과 통학 안전 문제를 직접 확인했으며, 학부모들과 소통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했다.
이 위원장은 "현장을 제대로 이해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교육위원회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런 점에서 교육위원회는 늘 현장과 가까운 곳에서 시민과 소통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자녀 가정을 위한 정책 역시 주요 의제 중 하나로 꼽았다.
이 위원장은 다자녀 기준을 자녀 3명 이상에서 2명 이상으로 완화해 더 많은 가정이 교육비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조례를 개정했다.
그는 "수학여행비나 현장체험학습비 지원을 통해 자녀를 둔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 꼭 필요하다"며 "이런 작은 변화가 가족의 행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믿는다"라고 말했다.
청년 정책에 대한 열정도 돋보인다.
그는 지역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창의적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대전청년내일재단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 사업(RISE) 등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 위원장은 "청년들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취업과 창업을 지원하는 한편, 지역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안정적인 유보통합 추진과 양질의 공교육 서비스 확대도 반드시 풀어내야할 과제로 지목했다.
그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유보통합 정책은 부모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는 정책"이라며 "대전 교육발전특구 지정과 더불어 과학·진로 교육을 확대해 공교육 혁신에도 힘쓸 것"이라고 대전 교육의 변화를 예고했다.
이 위원장은 대전이 진정한 교육도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시민의 목소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이들이 행복하게 성장하고, 부모님들이 믿고 맡길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들기 위해 시민과 함께 고민하며 나아가겠다"며 "대전이 교육도시로 자리 잡는 데 교육위원회가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