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차관 한 명도 없고 국회 상임위원장은 전무
지역발전 현안 해결 걸림돌… 정치력 확대 절실

국회의원 배지. 사진=연합뉴스.
국회의원 배지.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동진 기자] 지역발전을 좌우할 ‘충북 정치’의 현실이 암울하고 무기력하다.

윤석열 정부 들어 몇몇 부처 장·차관에 이름을 올리며 체면치레했던 충북 출신 장·차관이 전멸된다.

현 정부의 유일한 충북 출신 장관인 이정식 고용노동부장관은 최근 일부 개각에 따라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장이 내정되면서 퇴임이 확정됐다.

이에 앞서 김현숙 여성가족부장관도 지난 2월 물러나 이제 현 정부에 충북 출신 장관은 없다.

차관 중에도 충북 출신은 전무하다.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과 오기웅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이 지난 6월 실시된 차관급 인사로 교체됐기 때문이다.

이원재 국토교통부 1차관은 지난해말 자리를 내놨다.

국회 내에서 충북 출신 국회의원들의 위상도 마찬가지다.

22대 국회 개원 이후 18개 국회 상임위원장 선출 결과 충북 출신은 한 자리도 차지하지 못했다.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차지한 11개 상임위원장은 물론 국민의힘 몫인 7개 상임위원장에도 이름을 올린 충북 출신 국회의원은 없다.

관례적으로 국회 상임위원장은 3선 이상 다선 의원이 대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당초부터 예상된 결과다.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중 임호선(증평·진천·음성) 의원만 재선일 뿐, 이강일(청주 상당)·송재봉(청주 청원)·이연희(청주 흥덕)·이광희(청주 서원) 의원 등 청주권 4개 선거구 모두 초선이다.

상임위원장을 맡을 정치적 위상 자체가 안된다는 말이다.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 중 박덕흠(보은·옥천·영동·괴산) 의원과 이종배(충주) 의원은 4선으로 ‘관례적 자격’을 갖췄지만, 상임위원장을 차지하는 데는 실패했다.

박 의원은 상임위원장 대신 국민의힘 몫의 부의장 도전에 나섰으나 대구 출신 6선 주호영 의원에 밀려 무산됐다.

이 의원은 254개 지역구 의석 중 90석에 머문 국민의힘의 당내 지역별 역학구도상 배정을 받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재선인 엄태영(제천·단양) 의원도 선수에서 밀려 상임위원장을 맡기 어렵다.

이처럼 정부는 물론 국회 내에서 ‘충북 정치’의 위상은 말 그대로 ‘뒷방 신세’다.

이같은 정치적 현실은 충북지역 각종 현안 해결 과정에서 그대로 투영돼 나타난다.

오송 카이스트 바이오메디컬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서 탈락하면서 이를 핵심사업으로 하는 K바이오스퀘어 조성 자체가 차질을 빚게 생겼다.

오송AI·바이오 영재고 설립도 정부와 분담금 협의가 난관에 부딪히면서 제동이 걸렸다.

충북도가 충북대와 함께 나선 반도체공동연구소 유치 역시 강원도와 전북도에 밀려 실패한 것도 정치력과 무관치 않다.

‘선언적 법률’에 불과하다는 지적을 받아 온 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연내 개정 계획도 지역 정치권의 영향력 합체를 통해 국회 협력을 이끌어내야 하나, 현재 정치 상황 등을 고려하면 쉽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계획도 정치력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부산 가덕도신공항과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광주 군공항 이전 등은 특별법 제정을 통해 정부 지원의 기반을 마련한 반면, 청주공항은 활주로 연장조차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우물안 개구리’ 충북정치의 냉정한 현주소다.

김동진 선임기자 ccj1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