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연일 계속되는 불볕더위에 전력 수요가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20명을 넘었다. 기상청은 폭염이 앞으로 10일 이상 계속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한국전력거래소는 지난 12일 오후 2~3시 평균 전력 총수요 추계치가102.3GW라고 밝혔다. 지난해 8월7일 기록한 역대 최대치(100.6GW)를 1년 만에 갈아치운 것이다. 전력 수요 피크 기간 전력 총수요 100GW는 새로운 표준이 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가장 큰 걱정은 전기요금이다. 살인적인 더위에 에어컨을 켜지 않고는 도저히 버티기 힘든 지경이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취약 계층 130만 가구에 전기요금 1만5000원을 추가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전기요금 부담이 취약계층만의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차상위계층, 서민, 자영업자들이 전기요금 폭탄을 맞을 처지다. 주택용 전기요금엔 누진제가 적용돼 에어컨을 켤수록 전기요금이 늘어난다. 자영업자들은 손님을 맞으려면 항상 에어컨을 가동해야 한다. 가뜩이나 불경기에 전기료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이제 폭염은 이상기온이 아닌 재난 차원에서 다뤄야 할 사안이다. 재난을 당한 국민에게 상응하는 지원을 하는 건 국가의 책무다. 국회에도 관련 법안이 다수 올라와 있다. 이중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국회의원(대전 중구)이 대표 발의한 ‘전기사업법 일부 개정법률안’이 눈길을 끈다. 재난 수준의 폭염 등이 있는 경우 전기판매사업자가 전력요금의 100분의 30 이상을 감면하고 그 비용은 전력산업기반기금에서 지원한다는 게 골자다.
전기요금 감면이 적자경영 상태인 한전에 또 다른 부담을 줘서는 안 된다. 정교한 설계가 요구되는 대목이다. 차제에 에너지 절약 범국민 운동이라도 펼쳐야겠다. 상가를 지나다보면 문을 연채 에어컨을 펑펑 튼 곳을 쉽게 마주칠 수 있다. 에어컨 설정온도를 너무 낮춰 긴 옷을 입고 근무하는 웃지 못 할 풍경도 벌어지고 있다. 실내온도를 1도 높이면 전력사용량을 10% 줄이는 절전효과가 있다고 한다. 에너지공단이 밝힌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는 26도다. 지금 자신이 있는 곳은 과연 몇도 인지 확인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