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남 지역 의대 졸업생 70%가 다른 지역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니 충남에 의사가 부족하다는 얘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 충남도에 따르면 2017∼2021년 도내 의대 졸업 취업자 613명(졸업생 656명) 가운데 32.1%인 197명만이 도내에서 취업했다. 애써 길러낸 인재들이 타지로 유출되고 있는 것이다. 의사 부족은 도민들의 건강권과 직결된다. 치료를 위해 언제까지 타지에 나가야 하나. 충남도가 국립의대 유치에 진력하고 있는 배경이다.
충남의 열악한 의료 환경은 수치가 말해준다. 올 3월 기준 도내 활동 의사는 3230명으로, 도민 1000명당 활동 의사 수가 1.51명에 불과하다. 굳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3.7명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우리나라 평균 2.1명과 견줘 턱없이 적다. 심지어 예산, 태안, 청양, 당진, 계룡 등은 1000명당 활동 의사 수가 1명에도 미치지 못한다. 주민들은 병을 치료하기위해 번거로움을 마다않고 대도시를 전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낮은 의료수준은 지역소멸을 부추기는 요소다.
도민 건강을 위해 의사수를 획기적으로 늘릴 필요가 있다. 국립의대를 유치하면 상황은 달라질 것이다. 국립의대 신설은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임에도 좀처럼 가시화 되지 않고 있다. 반면 충남과 여건이 비슷한 전남은 국립의대 신설이 착착 진행 중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월 전남 목포에서 열린 지역 민생토론회에서 "전남도 국립의대 추진 문제는 먼저 어느 대학에 할 건지 정해서 알려주면 추진하겠다" 밝힌 바 있다. 보건복지부는 전남도에 의대 신설을 위한 정원배치를 약속했다.
충남도는 지난 1일부터 국립의대 유치 100만명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국립의대 유치의 당위성을 알리기 위해서다. 도민 건강과 충남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기약하려면 국립의대 유치는 필수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의대 졸업생이 유출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지금처럼 의대 졸업생의 70%가 외지로 빠져나간다면 의사부족 현상은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지역의사제 등이 거론되는 까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