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발전소폐지지역특별법 등 현안
국회 입성한 11人, 여야 떠난 협치 절실
국립의대 신설·메가시티 추진 속도내야
3선 ‘강훈식·어기구·성일종’ 역할론 부상
이민청·공공기관 이전 등 숙원사업 산재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제22대 국회가 개원하면서 충남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여·야 의원들의 협치(協治)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여·야 구분이 필요없고, 충남의 산적한 현안들은 지역을 넘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주요 과제들도 상당수이기 때문이다.
제22대 총선 결과, 충남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강훈식(아산을), 어기구(당진), 문진석(천안갑), 박수현(공주부여청양), 복기왕(아산갑), 이정문(천안병), 이재관(천안을), 황명선(논산계룡금산) 의원과 국민의힘 성일종(서산태안), 강승규(홍성예산), 장동혁(보령서천) 의원이 여의도에 입성했다.
이들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지역 현안으로는 제21대 국회에서 끝내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한 ‘석탄화력발전소폐지지역지원특별법’이 꼽힌다.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과 전력수급기본계획 등에 따라 2036년까지 폐쇄되는 전국의 노후 화력발전소 28곳 중 14기가 충남에 위치해 있다.
발전소가 폐쇄되면 도내 발전소 소재 지역의 인구 감소, 경제 위축, 지역사회 붕괴가 우려되는 상황으로 이들 지역에 대한 지원과 보상은 물론 기존 발전 시설을 대체할 수 있는 전력생산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국립의대 신설에도 여야 의원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 충남은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전남, 경북과 함께 국립의대가 없는 곳으로, 인구 1000명당 전국 평균 의사 수가 2.6명인데 비해 충남은 1.5명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매년 수백 만 명이 수도권 원정 진료를 다니면서 육체적·정신적·경제적 부담만 가중되고 있다.
또 ‘베이밸리 메가시티’, ‘충남 경제자유구역 지정’도 속도를 내야 한다.
베이밸리(아산만권)는 천안·아산·당진·서산 등 충남 북부지역과 경기도 평택·안성·화성·오산 등 경기 남부지역에 반도체, 디스플레이, 수소경제 등 우리나라 4차 산업을 선도할 ‘한국형 실리콘밸리’를 조성하는 초대형 국가사업이다.
대한민국의 미래가 베이밸리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특히 ‘국회의 꽃’이라 불리는 지역 3선 의원(강훈식, 어기구, 성일종 의원) 모두 베이밸리 지역을 지역구로 한다는 점에서 베이밸리 메가시티의 성공적인 추진으로 초당적 협력이 절실하다.
신설 출입국·이민관리청 천안·아산 유치도 초당적 협력이 필요하다.
이민청 설치를 놓고 충남·북과 부산, 경기, 인천, 경남, 경북, 전남 등 지자체들의 유치전이 가열되고 있지만, 국가균형발전, 외국인 주민 거주 현황, 교통 접근성 등에서 이민청 충남 유치의 당위성은 충분한 상황. 2차 공공기관 이전도 더는 미룰 수 없는 충남의 숙원 사업이다.
이밖에 △보령~대전·당진~광명·태안~충주 고속도로, 충청내륙철도,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등의 국가 도로·철도 계획 수정반영 △장항선 SRT 연결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설립 △국방관련 기관 충남 이전·신설 △천안 경부선 철도 지하화 △전기요금 지역 차등제 도입 등도 여·야 관계없이 협력, 추진해야 할 지역 현안 사업이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