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회의 주재 우즈베키스탄 등 3국 순방 성과 설명
광물자원·에너지·인프라 중심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중추외교 외연 확장… “기업·인력 중앙亞 교류 지원”

국무회의 발언하는 윤석열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제공

[충청투데이 김대환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보다 많은 기업들과 각 분야의 전문인력들이 중앙아시아와 활발히 교류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1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이번 중앙아시아 순방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중추외교의 외연을 중앙아시아 무대로 확장하고 우리 기업과 국민들이 마음껏 뛸 수 있는 기회의 운동장을 더 넓게 확보하고자 노력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지나 10~16일 투르크메니스탄과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 3국 순방 설과를 자세히 설명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이들 3개국과 광물자원, 에너지, 인프라 중심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고 구체적인 성과도 거뒀다고 자평했다.

윤 대통령은 “중앙아시아는 우리와 교류의 역사가 깊고 문화적으로도 친근한 지역”이라면서 “고대 실크로드의 중심지이자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예로부터 강대국들의 이익이 교차해 온 지역이기도 하다”고 운을 뗐다.

이어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정세 불안의 여파로 에너지, 식량 안보와 공급망 위기가 가중되면서 풍부한 천연자원과 발전 잠재력을 토대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지경학적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번 순방에 앞서 대한민국 최초의 중앙아시아 특화 외교전략인 ‘한-중앙아시아 K실크로드 협력 구상’을 발표했다”며 “중앙아시아의 모든 정상들은 동행, 융합, 창조의 협력 원칙을 바탕으로 하는 우리의 ‘K실크로드 이니셔티브’를 적극적으로 환영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이번 3개국 순방에서 거둔 구체적인 성과를 일일이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방대한 에너지 자원을 보유한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우리 기업과 투르크메니스탄 국영회사 간 가스전과 석유화학 플랜트 관련 협력 합의서가 체결됐다”면서 “이를 통해 조만간 우리 기업들이 수십억 불 규모 수주를 앞두게 되었고 추가적인 대규모 수주까지도 깊이 있게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앙아시아에서 경제 규모가 가장 큰 카자흐스탄에서는 전력산업 협력에 관한 정부 간 MOU를 체결해 우리 기업들이 발전소 현대화, 가스 복합 화력발전 같은 대형 사업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이 확보된 것”이라면서 “또 중앙아시아의 최대 시장인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고속철 수출 계약이 성사되어 한국형 고속철이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는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윤 대통령은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과의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에 관한 MOU를 통해 원전 연료인 우라늄과 2차전지 소재인 리튬, 그리고 반도체 소재인 몰리브덴, 텅스텐 등 주요 광종의 탐사와 개발부터 제련, 생산, 활용을 아우르는 전 주기 파트너십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