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부부, 회암사 사리 이운 기념식 참여
100년 만에 제자리… 김건희 여사 큰 공헌

▲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9일 경기도 양주시 회암사지에서 열린 ‘회암사 사리 이운 기념 문화축제 및 삼대화상 다례재’에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과 함께 참석하며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대환 기자] 윤석열 대통령 부부가 19일 경기도 양주 회암사지에서 열린 ‘회암사 사리 이운 기념 문화축제 및 삼대화상 다례재’에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지난 4월 16일 미국 보스턴미술관으로부터 가섭불, 정광불, 석가불, 나옹선사, 지공선사(3여래 2조사)의 사리가 10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와 환지본처(還至本處) 된 것을 기념하는 행사로 마련됐다.

지공선사는 서역과 중국을 거쳐 고려의 불교를 중흥하고 양주 회암사를 창건한 인도 출신의 승려이며 나옹선사는 지공선사로부터 불법을 배우고 공민왕의 왕사로 승려이다. 이번에 돌아온 사리는 본래 양주 회암사의 지공선사 사리탑에 모셔져 있다가 일제강점기에 불법 반출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반출 후 100년 만에 제자리로 돌아왔으며 고려 후기 사리탑 봉안 이후 600년 만에 최초로 공개됐다.

그동안 조계종은 보스턴미술관의 사리구 소장을 확인한 이후 20여년간 숙원이 된 사리 반환에 문화예술 분야에 관심이 높은 김건희 여사가 큰 공헌을 했다며 감사 인사를 전한 바 있다.

특히 지난 15일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조계사를 찾은 대통령에게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영부인께서 보스턴미술관에 사리반환 논의를 적극 요청하는 등 사리 본지환처에 큰 역할을 해 모셔올 수 있었다"며 감사를 표했다.

법륜스님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서 윤 대통령 부부는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과 함께 모든 국민에게 행복이 가득하기를 서원하며 헌등했다.

윤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오늘은 불교계와 국민 모두에게 큰 경사"라며 "100년 가까이 이역만리 타국에 머물렀던 3여래와 2조사의 사리가 마침내 고국으로 돌아온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이번에 돌아와 모셔진 사리는 한국 불교의 정통성과 법맥을 상징하는 소중한 국가 유산"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오랫동안 풀지 못한 어려운 문제였지만 한미관계가 더 가까워지면서 문제를 풀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국정 운영에 있어 국민을 위한 간절한 마음으로 노력하고 또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