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정상회담 뒤 기자회견
청와대서 4년 5개월 만에 실시
평화·안정 보장 北 비핵화 강조
정례적 개최… 3국 협력 제도화
연간 4000만명 인적 교류 추진
[충청투데이 김대환 기자] 한일중 3국 정상이 역내 평화를 위해서는 협력을 안정적으로 지속할 필요성이 있다는 6데 공감했다.
다만 한국과 일본은 북한의 비핵화가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서 중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중국은 의심과 오해를 풀고 집단화와 진영화에 반대해야 한다는 다른 목소리를 냈다.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총리와 4년 5개월 만에 정상회의를 가졌다.
정상회의 후 진행된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3국 정상은 흔들림 없는 협력에 대해 의견을 같이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한일중 역내 평화를 보장하려면 북한의 비핵화 노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중 3국 공통의 핵심 이익인 역내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목표 아래 이뤄져야 한다"면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이날 북한이 위성 발사를 예고한 것과 관련해서도 목소리를 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이 오늘 예고한 소위 위성 발사는 명백한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국제사회가 단호히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이날 채택된 공동선언은 3국이 민생증진, 역내평화, 번영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3국 정상회의를 정례적으로 개최하고 3국협력 사무국의 활동을 지원하면서 3국 협력의 제도화를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면서 "한일중 3국간의 활발한 협력이 양자관계는 물론 역내 평화와 번영을 증진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에 공감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각 분야에서의 3국 교류와 공동 협력에 대해서도 회의 성과를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2030년까지 연간 인적교류 4000만명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특히 미래세대간 교류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며 "2025년과 2026년을 한일중 문화교류의 해로 지정해 인적, 문화적 교류를 더욱 활성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안정이 3국의 공동 이익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기시다 총리는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를 감행한다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강력히 중지를 촉구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또 일본인 납북자 문제와 관련해 "납치 문제의 즉시 해결을 위해 양 정상께 계속 지원해 주실 것을 요청드렸고 양 정상께서 이해를 표명해 주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시다 총리는 "우리 세 정상은 지역의 평화와 번영에 막중한 책임을 공유하는 3국이 폭넓은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하겠다는 결의를 재확인했다"고 덧붙였다.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3국 협력에 공감하면서도 북한 문제와 관련해서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혔다.
리창 총리는 "중국은 시종일관 한반도 평화 안정을 추진하며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인 해결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제한 뒤 "관련 측은 자제를 유지하고 사태가 더 악화하고 복잡해지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의 비핵화 및 도발에 대한 한일 양국 정상의 비판과 달리 관련국들의 자제를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리 총리는 "한일중 3국은 예민한 문제와 갈등 이견을 선처하고 서로의 핵심 이익과 중대 관심사를 배려하며 진정한 다자주의를 실천함으로써 동북아 지역에서의 안정을 함께 수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