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시티. 그래픽 김연아 기자. 
메가시티. 그래픽 김연아 기자. 

대전시, 세종시, 충남·북도 등 충청권 4개 지방자치단체를 아우르는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가 공식 승인됐다.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의 발판이 마련된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최근 특별지자체 기본 규범 역할을 하는 충청지방정부연합 규약을 승인했다. 행안부 승인에 이어 충청권 4개 시도는 이 규약을 즉각 관보에 고시했다. 전국 최초의 특별지방자치단체 승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각별하다. 여세를 몰아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에 박차를 가해야겠다.

충청권 4개 시도의 끈끈한 협력관계가 마침내 충청지방정부연합 규약을 받아냈다. 처음 구상은 1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4개 시·도는 지난 2015년 충청권 상생협력 기획단 설치·운영 협약을 체결했다. 이 때 광역생활경제권 구축이라는 원대한 목표가 제시됐다. 충청권 4개 시·도지사는 2020년 광역생활경제권 구축에 합의했고, 지난해 1월 충청권 특별지자체 합동추진단이 출범하기에 이른다. 합동추진단은 특병지방자치단체 설립을 위한 실무기구다.

전국 첫 특별지방자치단체가 충청권에서 첫발을 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국적으로 행정통합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대구·경북권 메가시티, 광주·전남권 메가시티 등 여러 지자체들이 공조를 하고 있다. 부산·울산·경남권(부울경) 메가시티는 지자체 간 의견 불일치로 답보상태다. 충청권 4개 지자체는 오는 10∼11월께 특별지방자치단체가 출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행안부는 ‘충청지방정부연합’ 명칭을 11월 30일까지 변경하도록 했다. 지방정부라는 용어 사용이 헌법과 법령 취지에 위배돼서다.

충청권 4개 시도는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를 대체할 명칭을 결정해 오는 9월 열리는 각 시도 의회 임시회에서 의결을 받기로 했다. 충청권 메가시티는 국가 균형발전을 선도하고 국가 혁신성장의 거점역할을 하게 된다. 메가시티 구축에 엄청난 재원이 들어간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긴요하다. 가보지 않은 길이라 시행착오를 겪을 수도 있다. 차근히 준비해야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