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시리즈] 醫-政 싸움에 새우등 신세 공보의
上. 역할 증대에도 지원 급감
2022년 225명→작년 205명… 올핸 더 줄어
의과 2년 전보다 35% 감소… 보건기관 공백
“보건기관 수보다 적은 편입 몇 년 전 발생”

한산한 보건지소. 사진=연합뉴스 제공
한산한 보건지소. 사진=연합뉴스 제공

[충청투데이 장예린 기자] 그동안 관심 밖이었던 공중보건의사(이하 공보의)가 언론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정부가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 이탈 공백을 메우기 위해 대형병원에 이들을 파견하면서다. 공보의제도는 의료인력이 대도시 등에 집중됨에 따라 농어촌에서의 의료혜택 부족함을 메우기 위해 시행됐다. 이 때문에 가뜩이나 열악한 농어촌 의료서비스가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정부의 공보의 파견에 따른 지역 의료현장의 상황과 대책 등을 점검했다. <편집자 주>


정부가 지난 3월 20일 기존보다 2000명이 늘어난 2025학년도 대학별 의대 정원의 배정결과를 발표했다.

이들 중 수도권 대학에는 18%인 361명이, 비수도권 대학에는 82%에 해당하는 1639명이 배정됐다.

충북의 경우 충주 건국대 글로컬캠퍼스는 60명 증가한 100명, 충북대 의대는 기존 49명에서 151명이 늘어난 200명이 됐다. 충북대 의대 정원은 기존 정원에서 4배 이상 증원됐는데, 이는 전국 최대 규모의 증가폭이다.

의대 정원 배정결과가 발표되며 의정 간 갈등이 심화되자 정부는 내년 의대 신입생의 자율증원안을 내놓았고, 충북대는 교무회의를 열어 타 시·도 거점국립대처럼 기존 증원분의 50%만 반영해 125명으로 결정했다.

자율증원에도 불구하고 병원을 이탈한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고 의대 교수들까지 휴진하며 반발하자 정부는 주요 병원에 군의관과 공보의를 추가 파견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병원의 의료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고, 환자들의 안전 보장을 위한 이유에서다. 공보의는 의사·치과의사·한의사 등의 자격이 있는 자로, 병역의무 대신 3년 동안 보건소나 읍·면 보건지소 등 보건의료 취약 지역에서 공중보건업무를 수행한다.

의사들의 집단행동이 장기화 사태에 접어들자 충북도는 지난달 29일 비상진료대책을 마련하고 다수의 전공의 이탈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충북대병원에 10명의 공보의를 지원했다.

도내 거점 병원인 충북대병원에는 지난 3월 기준 9명의 공보의가 근무하고 있었고, 지난달 3명이 추가돼 현재까지 전문의 6명, 일반의 6명 등 총 12명의 공보의가 근무 중이다.

충북대병원 공보의들은 각각 정형외과와 마취과, 소아청소년과 재활의학과 등에 배치됐으며, 일반의들은 돌아가면서 진료를 보고 있는 상황으로 전해졌다.

이렇듯 의료대란 상황에서 공보의의 역할이 커지고 있지만 정작 충북도 내 공보의 수는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충북도에 따르면 올해 4월 말 기준 충북에는 총 193명의 공보의가 근무 중이다. 분야별로는 의과 68명, 치과 45명, 한의과 80명 등이다.

시·군 보건기관(보건소, 보건지소)에 배치된 공보의 수는 의과 60명, 치과 40명, 한의과 74명 등 모두 174명이다.

충북지역 공보의 수는 지난 2022년 225명에서 지난해 205명으로 20명이 줄어들었다. 올해는 지난 2022년보다 32명(14%)이 감소했다.

지난 2022년 105명이었던 의과는 지난해는 29명(27%)이 감소했다. 올해(68명)와 비교해보면 35%(37명)가 적다.

충북도 관계자는 이와 관련, "보건기관 수에 비해 공보의들의 편입이 적어지고 있다"며 "공보의 지원자 수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고, 이미 몇 년 전부터 발생한 일"이라고 말했다.

장예린 기자 yerinis6834@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