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학 자율 배정 방침에 입시 판도 불투명
‘최대 증원지’ 충청권 교육계 천국과 지옥 오가
정책 번복 가능성에 학교 현장 입시지도 어려움
학부모·수험생 “오락가락 정책, 피해는 우리 몫”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 방안을 검토하는 가운데 17일 대전의 한 의과대학 의학관으로 학생들이 들어가고 있다. 이경찬 기자 chan8536@cctoday.co.kr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 방안을 검토하는 가운데 17일 대전의 한 의과대학 의학관으로 학생들이 들어가고 있다. 이경찬 기자 chan8536@cctoday.co.kr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정부가 6개 비수도권 국립대 총장들이 건의한 ‘의대 정원 증원분 자율 조정’을 수용하며 올해 입시 판도가 다시 불투명해졌다.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원안의 50%까지 조정할 수 있도록 자율권을 준 것인데 대입전형 수시 원서 접수(9월)까지 5개월이 채 남지 않은 시점이라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혼선은 가중되고 있다.

앞서 정부 의대 증원 발표 이후 기대를 걸었던 N수생과 지역인재전형을 노린 비수도권 학생들은 정부의 감축안에 희망고문이 따로 없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최대 증원지였던 충청권 교육계는 하루 아침에 천국과 지옥을 오가는 분위기다.

의대 증원 규모는 의대 준비생 뿐 아니라 의약학, 자연계 상위권 수험생 합격선까지 영향을 주게 돼 전체 대입 판도를 뒤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내년도 입시가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 이 같은 정부의 오락가락한 결정에 피해는 결국 수험생의 몫이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대전지역 수험생 임 모(19)양은 “학원에서도, 학교에서도 올해는 지역인재전형이 확대 될 것이라며 의대 지원에 더 적극적으로 도전하라는 얘기를 많이 들어왔는데 또 손바닥 뒤집듯 상황이 바뀌니 혼란스럽기만 하다”며 “차분하게 대입을 치르고 싶은데 정부가 수험생과 학부모를 갖고 노는 것처럼 느껴진다. 올해 대입은 더욱 최악이 될 것 같다”고 비판했다.

수험생 자녀를 둔 학부모 이 모(49) 씨도 “이미 지금쯤이라면 각종 입시 설명회를 들으며 계획을 잡아가야 하는 시기인데 설명회를 듣자니 아직 정해진 것도 없고, 안 듣자니 불안해 혼돈의 카오스 같은 상황”이라며 “정확한 입시요강조차 제때, 제대로 나오질 않으니 수험생과 학부모 입장에선 그저 답답하고 불안하기만 하다”고 한탄했다.

학교 현장 역시 어지럽긴 마찬가지다.

대전의 한 고등학교 교사는 “확실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고 번복 가능성도 있어 학교에선 입시 지도에 있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태”라고 토로했다.

더 큰 문제는 이번 사태가 비단 올해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향후 입시에도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올해만 해도 몇 차례 번복된 결정이 내년에도 바뀌지 않을 거란 보장이 없다”며 “올해 불투명한 대입을 치르는 수험생들이 상황을 지켜보고 내년 재수, n수생이 돼 입시에 뛰어들면 또 다른 부작용과 함께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여기에 무전공 선발 확대 등의 변수가 다방면적으로 맞물려 수험생·학부모 혼란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학들은 이달 말까지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사항’을 한국대학교교육협의회에 제출, 승인에 따라 내달 말까지 대학 모집요강을 공고해야 한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