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투데이 한유영 기자] 한국전력공사 국감에서 한전의 대규모 적자, 요금 인상 문제를 놓고 여야간 책임 공방이 벌어진 가운데 한전이 요금인상 필요성을 재차 강조하고 나섰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19일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에 대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은 이날 업무보고에서 “전기요금은 잔여 인상 요인을 반영한 단계적 요금 인상을 추진하고 원가주의에 기반한 요금 체계를 마련해나가겠다”며 “뼈를 깎는 경영혁신으로 국민 신뢰를 되찾겠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2026년까지 누적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올해 전기 요금이 ㎾h(킬로와트시)당 51.6원 인상돼야 한다고 산정한 바 있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취임 이후 줄곧 경영 정상화를 위한 요금 인상 필요성을 강조해 왔는데, 이번 국감에서도 요금 인상 의지를 나타냈다.
김 사장은 “자산 매각을 다각화하고 복리후생을 조정하는 등 강구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총동원하겠다”며 “본사 조직 축소, 광역화를 통한 조직 효율화, 핵심 사업에 인력을 재배치 하겠다”며 자구 대책의 속도감 있는 추진을 약속했다.
이날 국감에선 수 조원에 달하는 한전 적자 문제에 대한 여야 책임 공방이 벌어졌다.
여당 의원들은 탈원전,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을 추진한 문재인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했고 야당 의원들은 한전 재무구조 악화는 현 정부에서 시작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한정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남양주시을)은 “윤석열 정부 들어 한전 부채가 35조원이나 늘었다”며 “한전 사장은 한전 재무구조 문제를 해소할 방법으로 선 구조조정, 후 요금조정이 아니라 선 요금 정상화, 구조조정 병행을 이야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당인 박수영 의원(국민의힘, 부산 남구갑)은 “문재인 정권 때 (인상을) 하지 않다가 대선에 지고 한 번 올렸다”며 “인상하기 전에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 과정에서 드러난 소위 전력 카르텔을 혁파 해줘야 국민적 수용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맞섰다.
한유영 기자 yyh@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