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1386가구·충남 3463가구
미분양 증가분 93.4%가 ‘지방’
대전·세종·충남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도 분양 예정 단지 없어
"적체 물량 해소되지 않으면
신규 분양시장 개시 어려워"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아파트가 7만 가구에 육박한 가운데, 최근 충청권에서도 미분양 물량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의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 8107호로 전월보다 17.4%(1만 80호) 증가했다. 2013년 8월(6만 8119가구) 이후 9년 4개월 만에 가장 많다.
미분양 상황은 지방이 더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미분양 물량은 1만 1035가구로 전월보다 6.4%(662가구) 증가한데 반해, 지방 미분양 물량은 지난달 9418가구(19.8%) 증가한 5만 7072가구로 집계됐다.
무엇보다 미분양 증가분의 93.4%가 지방에 쏠린 게 주목을 끈다. 충청권에서도 대전(74.8%·1386가구), 충남(68.6%·3463가구) 등에서의 미분양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업계는 가파른 금리 인상에 따른 주택 수요 감소를 미분양 증가 원인으로 보고 있다.
집값 하락장이 이어지면서 당분간 집값이 떨어질 것이라는 예상에 신축 아파트 분양을 받지 않는 추세도 영향을 미쳤다.
미분양이 쌓이면서 시행사나 건설사들은 쉽사리 분양 물량을 내놓기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에도 충북을 제외한 대전과 세종, 충남에선 분양 예정인 단지가 단 한곳도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분양한 단지 중 미계약 물량도 적체돼 있어 분양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게 업계 입장이다.
지역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언급한 위험선인 6만 2000호를 넘기면서 정부차원에서도 미분양 해소에 적극 개입하길 바라는 눈치다"며 "기존 적체물량이 해소되지 않으면 당분간 신규 분양시장에서도 청약을 선뜻 개시하는 단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전망이다"고 말했다.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