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1월 미분양 아파트 1853 가구
6개월 새 3배 증가… 유성구 급증
충남·충북도↑… 금리 인상 영향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청약 시장 열기가 빠르게 식으면서 충청권에 주인을 찾지 못한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적체되고 있다.
18일 부동산 빅데이터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 집계에 따르면 지난 11월 대전 미분양 아파트는 1853가구로 6개월 전인 6월 523가구에 비해 3배 이상 늘었다.
이는 2019년 3월 1475세대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구가 960세대로 가장 많았고, 유성구 581세대, 동구 165세대, 중구 147세대 순이다.
유성구는 10월 미분양 가구수가 64세대에 불과했지만 한달 새 581가구로 크게 증가했다.
지난해 유성구 일대에서 분양한 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집계에 잡히면서 증가세를 부추긴 것으로 분석된다.
충남의 아파트 미분양 물량도 크게 늘었다.
11월 충남 미분양 아파트는 5046가구로 전달 2840가구에 비해 1.5배 이상 증가했다.
지역별 미분양 물량을 살펴보면 천안이 3368가구, 아산 1064가구, 서산 102가구 등으로 급증했다.
충북 미분양 물량은 전월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
11월 충북의 미분양 아파트는 2632가구로 전달 1732세대에서 909가구 증가했다.
업계는 가파른 금리 인상에 따른 주택 수요 감소를 미분양 증가 원인으로 보고 있다.
집값 하락장이 이어지면서 당분간 집값이 떨어질 것이라는 예상에 신축 아파트 분양을 받지 않는 추세도 영향을 미쳤다.
미분양 물량이 충청권 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증가하면서 정부는 건설시장 연착륙과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민간 미분양 매입을 검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미분양 아파트를 한국토지주택공사(LH) 같은 공공기관을 통해 사들여 공공임대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예산 문제와 건설사의 분양 실패를 국가가 떠안아주기라는 비판 등이 나오면서 실제 민간 미분양 매입이 실현될지는 지켜봐야 한다.
지역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지금 급격히 증가한 미분양 물량 대부분이 분양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단지에서 잡힌 물량이다"며 "민간 임대 매입 1순위가 악성 미분양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인데 정부의 민간 미분양 매입으로 지역 내 미분양 물량을 해소하기엔 거리감이 크다"고 말했다.
박현석 기자standon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