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를 수사하는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이 2일 오전 국정자원 압수수색에 돌입했다.지난달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2025.10.2 사진=연합뉴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를 수사하는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이 2일 오전 국정자원 압수수색에 돌입했다.지난달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2025.10.2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중단된 행정정보시스템 복구율이 20%를 넘었지만, 주요 중앙부처 홈페이지는 여전히 접속이 차단돼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4일 낮 12시 기준, 전체 647개 행정정보시스템 가운데 130개(20.1%)가 복구됐다. 이 중 1등급 핵심 시스템은 21개다. 기획재정부 국문 홈페이지가 복구되면서 일부 대국민 서비스가 재개됐지만, 대부분의 부처 시스템은 정상화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6일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 10개 중앙부처의 대표 홈페이지가 전면 중단됐다. 해당 부처들은 네이버 블로그나 임시로 개설한 홈페이지를 통해 제한적으로 대민 서비스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외교부와 국방부, 법무부 등은 국정자원 대전 본원이 아닌 광주 분원이나 자체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두고 있어 정상 운영되고 있다. 서울시 등 각 지자체 홈페이지도 외부 클라우드나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위탁 운영 덕분에 피해를 입지 않았다.

이번 사태는 행정기관이 어느 전산센터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운영하느냐에 따라 피해 규모가 크게 갈린 사례다. 국정자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 집중된 부처는 장기 피해가 불가피한 반면, 분산 관리하거나 외부 클라우드를 활용한 기관은 안정성을 확보했다.

정부는 이번 화재를 계기로 중앙부처와 지자체 전반에 대한 행정시스템 보안 점검에 착수하고, 서버 관리 방식 전반을 재검토할 방침이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