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대전 한국수자원공사 본사 세종관 50주년 기념홀에서 ‘AI First 전략 비전 공유 타운홀 미팅’이 진행되고 있다. 공사 제공
29일 대전 한국수자원공사 본사 세종관 50주년 기념홀에서 ‘AI First 전략 비전 공유 타운홀 미팅’이 진행되고 있다. 공사 제공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빠르게 성장하는 첨단 물산업을 선점하기 위해 인공지능 중심의 업무 전환에 두 팔을 걷었다.

30일 공사에 따르면 전날 대전 본사 세종관 50주년 기념홀에서 윤석대 사장을 비롯한 경영진과 직원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AI First 전략 비전 공유 타운홀 미팅’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6월 출범한 AI First 전략기획단의 성과를 점검하고 각 분야의 다양한 직원들과 함께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AI 전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전략기획단은 ‘60년 경험을 1초로 압축하는 방법’이라는 비전 아래 139개의 도전 과제를 발굴했다.

업무 환경의 완전한 혁신, 스스로 학습하고 최적화하는 시설, 개인 경험을 넘어선 집단 지성의 탄생이라는 3대 전략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단계적 전환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참석자들은 최신 글로벌 AI 동향과 전환의 골든타임, 물산업 AI 선도 전략 등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특히 반세기 넘게 축적한 물관리 경험과 전 영역에서 생산되는 방대한 데이터를 AI와 연결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정부 국정과제인 ‘AI 3대 강국’ 실현에 기여하기 위해 AI 전환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현재 한국수자원공사는 수자원, 수도 등 전 분야에 걸쳐 하루 평균 약 74억건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들 모두를 AI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AI를 중심축으로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데이터 허브 인프라와 생성형 AI 서비스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윤석대 사장은 “2030년까지 전면적 AI 전환을 달성해 첨단 물산업 분야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