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6일 오후 대전 유성구 소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해 그 피해가 일파만파로 퍼지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불이 나 정부 전산시스템이 먹통이 되고 말았다. 이번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 중단됐다니 보통문제가 아니다. 국정자원은 정부 전산시스템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공공기관의 IT 시스템 등을 대규모로 관리하는 기관이다. 국민생활과 직결되는 주민등록, 재난안전, 금융거래 등 사회 전반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미친다.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 등 주요 부처 홈페이지와 공무원 전자우편 시스템이 마비됐다. 모바일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발급 등 주요 민원·인증 서비스가 다운돼 시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소방청은 문자나 영상통화, 웹사이트 신고를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우체국 서비스에 대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우체국 입·출금, 현금 자동 출금기(ATM) 이용서비스가 중지된 상태다. 사태 장기화시 물류 대란이 우려된다.
예고된 인재라는 말이 나온다. 지난 2022년 10월 카카오톡 데이터센터 화재 발생으로 국민메신저 카카오톡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한 적이 있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카카오는 재난복구 시스템을 이중, 삼중으로 고도화하는 계획을 내놨다. 하지만 카카오보다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국정자원은 반면교사로 삼았어야 함에도 대처에 소홀했다. 전문가들은 동일한 시스템을 갖춘 시설을 각기 다른 두 곳에서 운영해 한 곳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곳에서 기능을 하도록 했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장애복구가 급선무다.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시스템을 정상화해야 한다. 다음은 서비스 중단사태를 빚은 원인 파악이다.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처음 발화가 됐다고 한다. 소방청 자료를 보면 2021년부터 올 6월까지 총 2400여건의 배터리관련 화재가 발생했다. 공공기관은 물론 기업체의 배터리 관리 안전 메뉴얼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소를 잃고도 외양간을 고치지 못해 큰 대가를 치르고 있는 만큼 이번에는 확실한 재발방지 방안을 내놔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