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국정자원 5층 전산실서 화재 발생
우체국 시스템 완전 복구 시점 예상 불가
금융권 본인 확인·행정기관 관련 서비스 장애 발생
국민 생활·경제 직결된 주요 서비스부터 정상화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국민 생활 경제와 직결된 서비스들도 잇따라 마비되면서 혼란이 일고 있다.
우체국의 우편·금융 서비스부터 금융권의 신분 확인, 인터넷 지로·과금 납부, 부동산 거래 신고 등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됐다.
28일 정부 각 부처 등에 따르면 26일 오후 8시 15분경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 이후 우체국을 비롯한 정부 전산시스템이 마비됐다.
이로 인해 전날 우편·택배 서비스는 평소보다 지연됐고, 입출금·이체, 현금 자동입출금기(ATM) 이용, 보험료 납부·지금 등 금융 관련 모든 서비스가 중단된 바 있다.
우선 우정사업본부는 이날 오후 시스템 재가동을 위한 점검에 나섰으며 금융 관련 서버는 화재 피해가 없었던 만큼 정상 작동 시 서비스 재개 가능성도 내다보고 있다.
다만 서비스 완전 복구 시점은 예측되지 않고 있으며 우편·소포 서비스는 관련 시스템이 정상화되지 않을 경우 29일부터 수기로 업무를 처리하게 돼 지연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금융권에선 주민등록증과 모바일 신분증 등 진위 확인 서비스를 비롯해 전자증명서, 정부24 이용 대출 상품, 인터넷 지로 및 과금 납부 등 행정기관 연계 서비스 등에 장애가 발생했다.
온라인으로 신분증 확인이 불가능해지며 비대면 계좌 개설 등 관련 서비스가 일시 중단됐고 각 금융사에선 대체 인증 수단과 이용 서비스 현황 등을 안내하고 있다.
또 금융사들은 29일 영업점 업무 개시 이후 영업점과 콜센터에서 화재 사고로 처리하지 못한 고객 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사전에 응대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화재 이후 온라인을 통한 부동산 거래 신고,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도 중단되면서 부동산 중개인과 계약자들의 불편이 가중됐다.
전산망과 연계된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이 마비됐기 때문인데, 부동산 거래 등 신고는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 진행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를 부과받게 된다.
다만 이번 사태와 관련해 국토부는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신고 지연에 따른 과태료 부과 등 피해가 없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전날부터 본격적으로 복구 작업에 나선 정부는 우선 국민 생활이나 경제와 직결된 주요 서비스부터 정상화하겠단 입장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민 안전과 재산 보호, 경제활동에 직결되는 필수 시스템부터 정상화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이번 대응 목표는 단순한 업무 재개가 아니라 국민 신뢰 회복과 직결된 문제”라고 말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