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권. 사진=각 시도청 제공. 
충청권. 사진=각 시도청 제공. 

새 정부의 지역 현안 국정과제 확정이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충청권의 불만과 함께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지난달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의 대국민 보고대회에서 충청권 현안 상당수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담기면서 새 정부 청사진에 대한 기대가 컸지만 확정이 늦어지면서 변수가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것이다. 특히 영호남 중심의 정치지형 상 과거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충청권이 피해를 보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나온다.

실제 정치권에선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집권 여당의 지역적 관심이 지나치게 영호남 중심으로 매몰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취임 초 세종시에 위치한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이전시키는 지시가 나오면서 이미 한 차례 충청권의 우려를 키운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지난달 ‘호남발전특위’를 출범시킨데 이어 ‘영남발전특위’ 신설까지 검토하면서 영호남 집중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새 정부의 국정과제는 지역이 요청하고 제안한 지역 현안 모두를 담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전국 17개 시도가 수백 개의 지역 현안을 과제로 제출한 상황에서 재정적 한계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선택과 집중이 이뤄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지역이 현안 관철을 위해 경쟁해야 하고 정치권에서 지역별 주도권 다툼도 불가피해진다. 문제는 그동안의 정치 관행과 여야의 정치 구도 등을 감안하면 영호남에 비해 충청권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점이다. 지역적 안배는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내년은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충청권의 우려를 더 키우고 있다. 선거를 염두에 둔 여당 지도부가 영호남에 힘을 실어주는 행보를 보이면서 이른바 ‘충청소외론’이 다시 고개를 들 기세다. 호남은 조국혁신당과의 경쟁에 대비해 신경을 쓰고 있고 영남은 PK를 중심으로 ‘확장’을 위해 눈치를 보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반면 충청에 대해선 이렇다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정부와 여당이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 있다. 정치권이 특정 지역에 지나치게 힘을 싣는다면 충청지역 선거는 절대적으로 불리한 구도에 놓이게 된다는 사실 말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