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 1000명당 필수의료 전문의 수 격차가 4배에 달한다는 조사결과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수도권의 인구 1000명당 필수의료 전문의 수는 평균 1.86명인 반면, 비수도권 평균은 0.46명에 불과했다.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심장혈관흉부외과·신경과·신경외과 등 대표적인 8개 필수과목 전문의 수를 지역 인구 규모를 고려해 산출했다고 한다.
대전, 세종, 충남·북 등 충청지역은 더 심각하다. 대전의 인구 1000명당 필수의료 전문의 수는 0.34명, 세종은 0.06명, 충남 0.31명, 충북 0.24명 등으로 서울의 3.02명과 비교된다. 충청지역 전문의 수는 서울뿐만 아니라 경기(2.42명), 부산(0.81명), 대구(0.59명), 인천(0.55명), 경남(0.53명), 광주·경북(각 0.36명) 등에도 뒤진다. 과별 필수의료 전문의 수를 보면 열악한 의료 환경이 여실히 드러난다. 예컨대 세종, 충남·북 지역엔 인구 1000명당 심장혈관흉부외과 필수의료 전문의가 0.00명으로 나타났다. 신경과도 세종은 0.00명, 충남·북은 0.01명이 고작이다. 산부인과는 세종 0.00명, 충남·북은 0.01명에 불과하다.
이러니 지역의 환자들이 새벽밥을 먹고 서울 행(行)을 하는 거다. 아이를 낳으라고 하지만 주변에 산부인과가 없다. 대전, 충남·북의 인구 1000명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는 0.02명으로 시·군으로 갈수록 산부인과 전문의가 없는 곳이 수두룩하다. 지방의료원이 연봉 3~4억원을 제시하며 의사채용 공고를 내지만 응하는 의사가 없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의사들의 수도권 선호 현상은 지역 간 의료인력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연구원은 향후 분야별·지역별 의료인력 불균형이 더 심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지금도 격차가 큰데 얼마나 더 벌어진다는 말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대정원 확대는 의정갈등 끝에 원 위치되고 말았다. 인구의 고령화와 만성질환자의 증가세를 감안할 때 의료 수요는 증가할 수밖에 없다. 연구원은 현 의대 정원 유지 시 앞으로 의료 수요 대비 의료 공급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할 것이라고 했다. 정부와 의료계는 귀담아 들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