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의료 전문의 수 격차 4배달해
단순 의사 수 증원으론 해결 안돼
[충청투데이 최광현 기자]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필수의료 전문의 수 격차가 4배에 달하며 전국적으로 의료 인프라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충청권은 비수도권 평균마저 크게 밑도는 수준으로, 긴급 상황 발생 시 의료공백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21일 보건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 연구'에 따르면 수도권의 인구 1000명당 필수의료 전문의 수는 평균 1.86명인 반면 비수도권은 0.46명에 그쳤다.
충청권은 평균 0.23명을 기록해 수도권의 8분의 1, 비수도권 평균(0.46명)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지역별로는 대전이 0.34명으로 충청권 내에서 가장 높았고, 충남 0.31명, 충북 0.24명 순이었다.
세종은 0.06명으로 전국 최저 수준에 머물렀다.
필수의료 전문의는 외과·소아과·산부인과 등 생명과 직결된 분야의 진료 공백을 메우고, 응급수술이나 분만 등 골든타임이 중요한 상황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지역별 불균형을 줄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인력 확보가 과제로 꼽힌다.
연구원은 "지방 의료기관의 정주 여건과 낮은 수가 체계가 개선되지 않는 한 의료인력의 수도권 쏠림 현상은 지속될 것"이라며 "필수의료에 대한 지원 확대와 수가체계 개선이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지역 간 의료격차는 고령층 비율이 높은 농어촌 지역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로 나타난다.
고령층은 당뇨·고혈압 등 기저질환을 앓는 경우가 많고, 면역력 저하로 각종 응급 상황 발생 위험이 젊은 층보다 현저히 높다.
또 계절마다 발생하는 온열·한랭질환 등 체온조절능력 부족으로 인한 응급상황 가능성도 있다.
이처럼 고령층 비율이 높은 농어촌은 만성질환 관리와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크지만 이를 담당할 의료진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앞으로의 개선 전망도 밝지 않다.
공공의료의 최후 보루인 공중보건의(이하 공보의) 수가 급격히 줄고 있기 때문이다.
충남의 공보의 전문의는 2023년 57명에서 2024년 52명, 올해 37명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충북 역시 2023년 44명에서 지난해 35명, 올해 25명으로 3년 새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의사 수 증원만으로는 격차 해소가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필수 전문의 인력 지원 확대와 함께 지역 근무 의무화 등을 추진해 의료공백을 메워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 의료계 관계자는 “근무할 유인을 마련하지 않으면 의사들은 계속 수도권으로 몰릴 것”이라며 “전공의 수련과정에서부터 지역 근무를 의무화하고, 의료기관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광현 기자 ghc0119@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