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남도와 청양군이 기후대응댐인 지천댐 건설을 두고 대립을 이어가고 있다. 도는 물 부족 문제 해결과 충남 미래산업 성장을 위한 기반을 위해 댐 건설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해 오고 있다. 반면 청양군은 댐 건설로 인한 지역 피해와 대책 불확실, 일부 주민 반대 등을 이유로 건설에 대한 정확한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김태흠 충남지사가 댐 건설과 관련된 직간접적 도 예산 감액을 표명했고, 김돈곤 청양군수는 댐 건설과 예산은 무관하다며 반발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지천댐을 둘러싼 갈등을 보면 몇 가지 의문이 든다. 먼저 최초 환경부가 기후대응댐 후보지로 지천을 지명한 이후 충남도와 청양군이 갈등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환경부는 ‘주민 합의가 우선’이라는 입장을 발표한 후 한 발 물러나서 충남도와 청양군이 알아서 합의해서 오라는 듯 한 모양새다. 반면 청양군은 ‘환경부의 최종 결정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환경부는 주민 합의 사항을 보고 결정하겠다고 하고, 청양군은 환경부 결정을 보고 하겠다고 한다. 누가 먼저인지 모르겠다. 누구도 댐 건설에 대해 책임지지 않겠다는 듯 한 분위기로도 보인다.
지천댐 건설은 청양 주민뿐만 아니라, 충남 전체의 미래와 직결된 사안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물론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용수 수요 증가를 고려하면 안정적 수자원 확보는 필수적이다. 충남 성장과 직결된 장기 기반 투자인 셈이다. 이와함께 환경 보전과 지역 공동체의 생존권도 반드시 존중받아야 한다. 환경부가 주민 의견을 중시하겠다고 밝힌 것도 바로 이 지점 때문일 것이다.
지금 충남도와 청양군이 필요한 것은 책임을 미루는 태도가 아니다. 도와 군 모두 충남 전체의 이익을 고려한 실질적 해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청양군민의 찬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주민 지원 대책과 환경 보전 방안,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충남 발전을 도모할 때이다.
갈등이 장기화될수록 충남의 발전은 늦춰지고 도민 간의 갈등은 더욱 증폭된다. 정치적 계산이나 지역 이기주의를 넘어 충남 미래를 함께 생각해야 한다. 그것이 충남의 미래와 충남도민을 위해 도와 군이 져야 할 책임이며 의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