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디지털성폭력 SOS 가이드 공개
학교 구성원별 대응법·지원기관 등 담겨
피해 잇따르자 대전교육청 전담팀 구성
즉시 신고 안내·찾아가는 예방교육 방침

딥페이크 음란물 유포. 사진=연합뉴스 제공
딥페이크 음란물 유포. 사진=연합뉴스 제공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지난해 대전에서도 학생 대상 딥페이크 범죄가 다수 발생한 가운데 정부가 내놓은 디지털 성폭력 초기 대응 가이드에 이목이 쏠린다.

22일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까지 집계된 관내 딥페이크 피해 학생은 총 23명이다.

이중 고등학생이 절반 이상으로 피해 학생은 대부분 중·고등학생에 쏠린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대전경찰이 검거한 딥페이크 성범죄범 214명 중에서도 10대·20대가 94%에 달했다.

시교육청이 파악한 딥페이크 피해 학생들은 모두 재학 중인 학교에서 위(wee)클래스 상담을 받거나 연계 기관에서 심리상담을 진행한 상태다.

학생 대상 딥페이크 피해가 잇따르자 시교육청은 지난해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 전담 TF팀을 꾸리고 신속한 피해 지원과 예방책 마련에 나선 바 있다.

최근에는 대전에서 학교 내 성희롱·성폭력 근절을 위한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성희롱·성폭력 전담 조직 협의체가 개최되기도 했다.

시교육청은 딥페이크를 비롯한 디지털 성폭력 예방의 일환으로 내달부터 전문 강사·기관 연계해 ‘찾아가는 학교 대상 디지털성범죄 예방 사업’을 운영할 방침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만약 디지털 성폭력 사안이 발생했을 때 즉시 학교에서 교육청으로 신고하는 절차를 지속 안내하고 있다”며 “올해 초에는 학생 대상 딥페이크 관련해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각 학교·학급에 경고 라벨을 배포하는 등 디지털 성폭력 예방 문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정부도 딥페이크 성범죄 등 디지털 성폭력 초기 대응 강화를 위해 관계부처와 머리를 맞대고 있다.

교육부는 이날 초·중·고생 및 대학생,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학교 디지털 성폭력 초기 대응을 위한 ‘디지털 성폭력 에스오에스(SOS) 가이드(5종)’를 공개했다.

이번 안내서에는 학교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디지털 성폭력 유형과 디지털 성폭력 발생 시 학교 구성원(학생·교사·학부모)의 상황별 대응방법 및 도움받을 수 있는 기관, 예방을 위한 수칙 등이 담겼다.

또 디지털 성폭력 피해를 입은 경우의 대응 요령을 비롯해 친구나 제3자가 피해를 입은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 가해 행동 시 책임지는 자세 등이 수록됐다.

안내서는 교육부 누리집, 교원 전용 디지털 플랫폼 ‘잇다(ITDA)’ 및 학부모 온누리 누리집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다.

배동인 교육부 정책기획관은 “지난해 딥페이크 성범죄 사건 이후 신속한 대응 및 디지털 성폭력 교육자료 제작·보급 등 디지털 성폭력 예방과 피해자 보호·지원 등을 위해 노력해 왔다”며 “앞으로도 학교가 디지털 성폭력으로부터 안전한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