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남도와 충북도가 26일 나란히 일자리 대책을 내놨다. 먼저 두 지자체의 일자리 창출 규모가 엄청나다. 충남도는 올해 9383억원을 투입해 일자리 10만개를 만든다는 목표다. 도가 올해 확보한 국비가 11조원 규모임에 비춰 상당한 예산을 일자리 부문에 쏟아 붙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15∼64세 고용률을 현재 69.4%에서 70.4%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충북도는 일자리 33만1000개 창출 의지를 밝혔다. 달성 시 고용률이 71.9%로 올라간다.
15∼64세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생산가능인구다. 이들 중 70% 이상이 취업을 했다는 건 비교적 고용안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의미다. 충남도의 일자리 계획을 들여다보니 미래형 일자리 창출, 고용 취약 계층 지원 강화, 청년 취업 확충 등이 눈에 띈다. 이력 단절 여성과 노인·장애인 등에 신경 쓴 모습이 역력하다. 충북도는 지역 일자리 거버넌스 완성, 누구나 소외 없이 일할 수 있는 지역 구현 등을 내세웠다. 큰 범위에서 충남도와 충북도의 일자리 전략은 닮은 점이 많다.
어떻게 목표를 달성할 건가. 일자리 마련의 가장 쉬운 방법은 기업유치다. 기업유치는 인구를 유입하고, 기업 주변의 상권을 돌게 한다. 여기에 지방세는 부수적으로 따라온다. 일석삼조인 셈이다. 일자리 개수 못지않게 질이 중요하다.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자는 거다. 고용정책기본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장은 매년 일자리 목표와 대책을 공표해야 한다. 목표 달성에 얽매여 단기 아르바이트 형태의 일자리나 자활근로사업 등에 치중해선 곤란하다.
주지하다시피 지역의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 보통문제가 아니다. 2024년 기준 충남도내 19~39세 청년인구는 49만962명이다. 불과 5년 전인 2019년 55만513명 보다 5만명 이상 줄었다. 청년들이 지역에 안주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가 있다면 굳이 고향을 등질 일이 없다. 15-29살 청년층 ‘쉬었음’ 인구가 사상 첫 50만명을 넘어섰다. 이들을 산업현장으로 적극 끌어들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