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4·2 재보궐선거의 공식 선거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이번주 소위 ‘사법 슈퍼위크’를 맞이하면서 우려처럼 여야의 정쟁만 난무한 가운데 중앙정치 이슈만이 지역 선거운동 현장을 채우고 있다. 이번 재보궐선거는 계엄이후 탄핵 정국에서 치러지는 첫 전국 단위 선거다. 향후 정치 풍향계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로 각 당에 중요한 민심 지표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 기각에 이어 이재명 민주당 대표 2심 결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일 여부 등 대형 정치권 이슈가 몰려있는 주간이다.
그렇다보니 지역 현안은 없고 정쟁만 가득찬 선거운동이 펼쳐지고 있어 심히 걱정된다. 실제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지난 20일 유성구 제2선거구 대전시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한 3당 후보들은 일제히 거리로 나와 본격적인 유세전에 돌입했지만 지역현안은 없었다고 한다. 심지어 여느 선거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후보들간 비방도 없었다고 하니 참으로 웃픈 이야기다. 중앙정치 이슈가 지역을 가득 채우다 보니 지역현안은 유권자들에게 각인되기 쉽지 않은 이유 때문일 것이다. 실제 유세현장에서 국민의힘은 이재명 심판, 민주당 심판론을 꺼내들고 민주당은 윤석열 정권과 내란공범 국민의힘을 심판해야 한다는 목소리만 가득찼다고 한다. 이게 지역 시의원 선거인지 당 지지율을 확인해 보는 선거인지 유권자들이 ‘이런선거를 왜 하나’라는 비판의 목소리를 내놓는 것은 당연지사다.
지역의 일꾼을 뽑는 선거가 우려대로 정당선거로 전락할 위기에 놓였다. 각 당 지도부들은 이번주 바쁜 중앙정치 일정을 뒤로한채 충청지역을 찾는다고 밝힌 상태다. 불보듯 뻔하다. 지역현안을 해결하겠다는 당 지도부의 메시지는 없고 정쟁만 난무할 것이 자명하다. 이래서는 안된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선거운동기간 부적격 후보자들이 누구인지 분별할 수 있어야 한다. 충남 아산시장을 비롯해 대전 유성구 제2선거구 광역의원, 충남 당진시 제2선거구 광역의원 등 3곳에서 진행된다. 남은 1년여의 임기지만 당만 보고 입성시켜서는 안될 것이다.
이제는 ‘정권 심판’, ‘야당 견제’가 아닌 지역 현안 해결에 대한 외침이 선거운동 현장에 울려퍼져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