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4·2 재보궐선거의 공식 선거운동이 오늘부터 시작된다. 선거기간 개시일인 20일부터 선거일 전일인 내달 1일까지 공직선거법이 제한하지 않는 방법으로 누구든지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번 재보궐선거는 전국적으로 교육감 1곳과 기초단체장 5곳, 광역의원 8곳, 기초의원 9곳 등 모두 23곳에서 실시된다. 충청지역에서는 충남 아산시장을 비롯해 대전 유성구 제2선거구 광역의원, 충남 당진시 제2선거구 광역의원 등 3곳에서 진행된다.
이번 재보궐선거는 선거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시작전부터 관심이 뜨겁다. 그도 그럴것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선고와 이재명 대표의 2심 판결 이후 치뤄지는 첫 선거일 가능성이 크다보니 이번 재보궐선거는 이전 관심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일반적인 재보궐 선거와 판이하게 다른 관심을 끄는 이유다. 현재 거대 양당 정치권에 대한 민심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번 선거결과는 향후 대한민국 정치 지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로 판단될 수 있어서다.
우려점은 있다. 선거는 진영논리를 떠나 후보자의 인물과 자질을 냉철하게 판단하는 것은 물론 정책과 공약을 살펴 유권자들의 현명한 선택을 요구한다. 하지만 이번 보궐선거는 예외일 가능성이 크다. 진영논리에 휩쓸려 서로를 비방하는 편가르기 선거로 전락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각 당들은 중앙당 차원의 총력 지원을 예고한 상태다. 각 후보들의 유세를 지원한다는 목적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상대 당들을 비판하는 선전장으로 활용될 수 있어 심히 우려스럽다. 강성 지지층 결집을 노리는 것은 물론 비방전만 난무하는 역대급 진흙탕 싸움의 선거운동이 될 수 있어 더욱 그렇다. 인물선거가 아닌 정당선거가 될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하는 시점이다.
유권자들은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 우선 선거운동기간 부적격 후보자들이 누구인지 분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무리 대선, 총선처럼 무게감 있는 선거는 아니지만 남은 1년여 동안 지역 일꾼으로 일해야 하는 중요한 자리인 만큼 당만 보고 지지해서는 안될일이다. 제대로 된 일할 사람은 뽑는 일이야 말로 현명한 유권자들에게 주어진 책무임을 명심해야 한다. 정당선거로 가서는 지역 발전은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