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연구소 기업]
작년 전국 92곳 등록취소… 대덕 27곳
청산·파산·해산·휴업·폐업 이유 최다
기술사업화 지원 줄어 자금조달 난항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문 닫는 연구소기업이 5년 새 무려 20배 가까이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 따르면 전국 연구개발특구 내 연구소기업 중 92곳이 지난해 청산, 파산, 해산, 휴업, 폐업 등의 이유로 등록취소됐다.
특구별로 보면 △대덕 27곳 △전북 20곳 △대구 18곳 △부산 11곳 △강소(전국 14곳) 9곳 △광주 7곳 등이다.
같은 이유로 등록취소된 연구소기업은 2019년 5곳에서 이듬해 14곳, 2021년 36곳, 2022년 12곳, 2023년 48곳 등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연구소기업은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기 위해 2006년부터 정부출연연구기관이나 대학, 산학연협력 기술지주회사 등의 출자로 특구 안에 설립하는 기업이다. 공공연구기관의 기술 사업화, 공공연구기관의 지분율 10% 이상, 특구 내 위치 등의 요건을 충족하면 연구소기업으로 등록된다. 반대로 해당 요건을 준수하지 않거나,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하거나, 기업 자체가 없어지면 등록이 취소된다.
경영난에 운영을 포기하는 연구소기업이 늘면서 이를 포함한 전국 연구소기업의 총 등록취소도 2018년 28건에서 지난해 232건으로 크게 불어났다.
특히 지난해 등록취소 중 청산·파산·해산·휴업·폐업이 92곳(39.7%)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특구 외 이전이 71곳(30.6%), 지분율 미달이 46곳(19.8%)으로 뒤를 이었다.
심지어 2023년까지만 해도 연구소기업의 등록취소 원인 1위는 특구 외 이전이었지만, 지난해 청산·파산·해산·휴업·폐업이 이를 뛰어넘은 것이다.
즉, 코로나19 여파와 고금리·고물가·고환율 장기화 등에 따른 경영난이 연구소기업의 등록취소, 특구 이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전국 연구소기업은 매해 약 200개씩 추가되며 2019년 891곳에서 지난해 2040곳까지 증가했다.
하지만 등록취소되는 연구소기업도 2022년 57곳, 2023년 146곳, 지난해 232곳 등 계속 빈번해지고 있고, 이중 휴·폐업 등이 다수를 이룬다는 점에서 연구소기업에 대한 질적 관리가 요구된다.
김종현 충남대 기술지주회사 투자지원부장은 "경기 침체와 더불어 지난해 R&D 예산 감축으로 직격탄을 맞은 연구소기업이 대폭 늘었다"며 "특히 기술사업화(R&BD) 지원사업의 규모가 매우 줄어 기업 상당수가 초기 연구자금 조달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덕특구 내 연구소기업 관계자는 "법인세 3년, 재산세 최대 7년 면제 같은 혜택은 매출을 내기 어려운 사업 초기 단계에선 무의미하다"며 "이보다 임대료 등 고정비용을 감면하는 것이 생존에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호소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