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서·대전본사 편집국 교육문화부 차장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야 정신병원 가봐", "약 먹었냐", "재 좀 정신병인 듯", "정신병자 같아"
우리는 일상에서 이 같이 정신질환을 폄하 하는 우스갯소리식 장난을 흔하게 쳐왔다.
아무렇지 않게 농담 식으로 건넸던 이 말 속엔 우리 사회가 정신질환을 대하는 편견, 낙인, 색안경 등 다양한 의미가 내포돼 있다. 역사적으로도 정신질환자들은 대표적인 편견의 대상이었다.
중세 유럽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정신질환자들이 마녀로 몰려 화형을 당하기도 하고, 근대에 이르러서는 대규모 수용시설에 가둬져 사회에서 격리되기도 했다. 이렇듯 동서양을 막론하고 우리는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두려움을 갖고 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정신질환을 바라보는 시각은 이전과는 달라져야 한다.
다양한 스트레스, 복잡한 인간관계, 경제적 요인 등 누구에게나 언제든 올 수 있는 마음의 감기로 인식해야 한다. 이를 감추고 골든타임을 놓쳐 병을 키우지 않도록 적절한 대책과 지원이 필요하다. 학생들을 상대로 하는 교사라면 특히 그렇다.
그 중에서도 초등학교 시기, 선생님과의 관계와 소통은 자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만큼 절대로 간과해선 안 될 영역이다. 해외 주요 국가는 이미 주기적으로 교사들의 정신 건강에 관한 조사를 하고 있다. 미국의 싱크탱크 랜드연구소는 매년 전국 교사들의 정신 건강을 전수조사해 직무 스트레스를 확인하고, 심리상담을 지원하는 동시에 이를 정책에도 반영한다.
또 교사가 정신건강 문제로 인해 학생의 학습권과 신변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의료 전문가의 평가를 반드시 받게 돼 있다. 현장 복귀 여부 역시 재심사를 거쳐 결정하는데 학생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으면 복직을 허용하지 않는다.
인근의 일본도 정기적으로 정신건강 검진을 통해 지속적으로 교사의 상태를 점검하며 조금이라도 이상징후가 발견될 시 학교와 교육청이 즉각적으로 대응 조치하도록 돼 있다. 정신질환 자체를 살인의 원인으로 몰아가며 모든 우울증 교원을 잠재적 범죄자로 낙인찍는 일은 없어야 한다. 다만 교사라는 직무 특성상 교원의 정신건강은 교육의 질과 직결돼 있다는 점을 잊어선 안될 것이다. 단순히 정신질환 교사를 배제하는 방식과 교사의 인권 보호라는 논쟁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닌 교육주체 모두를 고려한 교육 시스템 전반에 개선이 요구된다.
학생과 교사 모두의 정신건강을 보호할 수 있고, 지원할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이 수립되길 바란다.
최윤서 cy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