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천문연맹 총회서 결의안 채택
인공위성 빛공해 저감 필요성 주장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우주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별로만 반짝이던 시절로 과거의 우주도 중요하고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천문학회는 지난해 8월 제32회 국제천문연맹(IAU) 총회에서 채택된 어둡고 조용한 하늘(DQS) 보호를 지지하는 결의안에 동의하는 취지로 3일 성명서를 발표했다고 이날 밝혔다.
천문학회는 인공위성 수가 급증하며 태양빛을 반사하고 우주공간에서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해하는 빛공해에 대한 우려가 있다며 어둡고 조용한 하늘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 개념은 인공 빛공해와 전파 간섭을 줄여 천문 관측을 지원하고 생태계와 인간의 삶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활동이다.
국제천문연맹은 2022년 ‘어둡고 조용한 하늘 지킴이 센터(CPS)'를 출범하고 국제무대에서 관련 문제를 알리고 해결책을 찾고 있다. 최근에는 유엔 우주공간평화이용위원회에서 DQS를 올해부터 5년간 공식 의제로 논의하기로 결정했다.
박병곤 천문학회장은 성명을 통해 “DQS 보호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을 지지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이 보다 실천적인 정책을 수립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어 “뉴 스페이스 시대로 대변되는 21세기 우주 탐사와 우주 산업의 비약적인 성장은 군집 위성의 반사광으로 인해 밤하늘이 밝아져 지상 광학 망원경의 천체 관측에 지장을 초래하며, 전파 간섭으로 인해 지상 전파 망원경을 이용해 우주 전파를 관측하는 과학 활동에 장애를 일으킨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별이 빛나는 밤하늘을 보호하는 것은 비단 천문학만이 아니라 인류의 문화적, 심미적 유산을 보존함으로써 인간으로서의 정체성과 상상력을 유지한다는 의미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