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도 피할 수 없는 학령인구 쇼크]
업무과중·재정 문제 소규모 학교
통폐합 대신 분교장 개편 우선 추진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도심지역의 소규모 학교 증가는 학교경영, 교육과정, 교육재정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전문가들은 대전 역시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인구이동, 원도심 공동화 영향으로 소규모 학교가 더욱 늘어날 수 있는 만큼 통·폐합 보다는 분교장 개편을 우선 제안한다.
일단 학교 경영에 있어 소규모 학교는 교사 1인당 업무량 과중을 부른다.
이는 교육활동 내실화 문제, 취학 기피에 따른 입학생 및 기본운영비 부족 등의 문제와 직결된다.
교육과정 면에선 전공과 다른 과목을 가르치는 상시교사가 배치돼 교육의 질이 저하되고, 방과후학교 운영의 어려움, 또래집단 부재로 인한 학습 동기 저하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교육재정 측면에선 학생 1인당 교육비가 과다해질 수 있어 장기적으로 소규모 학교 유지 및 증가는 국가 차원의 부담이 된다.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에 따르면 소규모 학교 비율(240명 이하 기준)은 대전(24.8%)이 광역시 중 부산 다음으로 높다.
대전은 특히 외곽인 농촌지역의 소규모 학교 비율이 높았다.
하지만 타 지역에 비해 학교 통·폐합 경험은 적다. 실제 전국에서 폐교 학교 수가 서울에 이어 가장 적다.
인구가 비슷한 광주(15개교)와 비교해도 2배 가까이 적다.
다만 과밀이 우려되는 개발구역을 중심으로 분교장 개편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
광역권은 상대적으로 재개발사업 등 학생 수 추계가 쉽지 않아 학생 수 과밀 가능성이 있는 만큼 통·폐합 보다는 분교장 개편이 우선 추진된다.
현재 도안 갑천지구, 용문동 주택개발에 따른 학생 적정 배치를 위해 대전원신흥초 복용분교가 3월 재개교, 오는 2027년 3월 개교 예정인 친수1초 개교 시까지 운영된다.
또 대전탄방초 용문분교는 오는 9월 개교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도심 외곽의 소규모 학교의 경우 인근에 학교가 없어 통·폐합이나 통합 운영학교로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이 역시 ‘분교장 개편’을 제안한다.
허성회 공주대 교수는 최근 ‘소규모학교 현황분석을 통한 적정규모 학교 정책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광역시 이상 지역의 소규모초등학교를 중심으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제시했다.
허 교수는 논문에서 “통·폐합 위주의 적정규모 학교 정책 추진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며 “소규모 학교의 교육여건, 학교배치, 학생 수 변화 추세 그리고 통학구역 현황 등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별 추진가능 유형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소규모 학교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