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충청광역연합 체력 점검
■ 글 싣는 순서
1. 인구 증가 ‘정중동’
2. 특화 기술업종 분포
3. 후퇴하는 의료 인프라
2. 특화 기술업종 분포
대전 건설·세종 교육·충남북 제조
ICT 등 첨단 고기술 경쟁력 강점
“국책사업 유치 보완·협조 필요”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충청권의 사업체수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인구와 비슷하다. 다만 종사자수 기준으로 소규모 업체가 다수를 차지해 규모의 경제 실현에 한계가 있지만 지역 특화 기술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충청지방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충청권 사업체수는 66만 1475개다. 전국 사업체의 10.8% 비중이다. 지난해 인구 비중은 10.85%였다.
시·도별 규모는 충남이 26만 6577개로 충청권 전체의 40.3%이며, 충북(29.8%), 대전(24.9%), 세종(5.0%)이 순차적으로 뒤를 이었다.
종사자수는 278만 4747명으로 전국 종사자의 11.0%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종사자 규모 별 사업체 구성비는 ‘1∼4명’이 86.8%(57만 4411개)를 차지하고 있다. 이밖에 ‘5∼99명’이 12.8%(8만 4537명), ‘100∼299명’은 0.3%(1975개), ‘300명 이상’이 0.1%(552개) 등이다.
‘300명 이상’ 사업체가 가장 많은 곳은 충남으로 178개이다. 충북은 164개, 대전이 162개, 세종이 48개 등이다.
‘100∼299명’도 충남(785개), 충북(595개), 대전(479개), 세종(116개) 등 대규모 기업이 두드러지게 분포한 지역은 없다.
산업별 사업체수는 도·소매업(23.3%), 숙박·음식점업(15.2%), 운수·창고업(9.8%) 순으로 많다.
제조업은 100개 중 9개꼴인 8.8%다.
시·도별 산업별 사업체수 구성을 보면 4개 시·도 모두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이 상위권에 분포한 상황에서 대전은 건설업이, 세종은 교육서비스업과 부동산업이, 충북과 충남은 제조업이 각각 다른 지역에 비해 특화한 산업구조다.
기술업종별 사업체 입지계수도 시·도간 눈에 띄게 차이가 난다.
상대적 특화도 지수로 불리는 입지계수는 어떤 산업이 특정지역에 상대적으로 특화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1보다 크면 해당 기술업종이 특화돼 있음을 의미한다. 값이 클수록 특화정도가 크다.
충청권 전체적으로 기술업종별 사업체 입지계수는 첨단기술(1.20), 고기술(1.19) 등 순서로 큰 가운데 대전은 첨단기술(1.63), 세종은 정보통신기술(ICT)(1.63), 충북은 중기술(1.37), 충남은 고기술(1.45)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기술업종별 종사자 입지계수는 △대전 전문서비스(1.74) △세종 첨단기술(1.65) △충북 첨단기술(1.56) △충남 고기술(1.73) 등이 각각 가장 크다.
세부 권역별 기술업종별 종사자 입지계수는 충북 북부권은 첨단기술이, 충남 북부권은 고기술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충청권 각 시·도가 지역이기주의를 배척하고 이 입지계수 특성을 보완, 전체 발전 추구 차원에서 국책사업 유치에 나설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의미다.
최상천 청주상공회의소 본부장은 "메가시티 초기단계인 충청광역연합 출범으로 충청권이 국책사업 유치 등에 대응력이 생겼다"면서 "각 지역의 특화된 기술력을 바탕삼아 정부의 특성산업 육성 경쟁에 힘을 합쳐 뛰어 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 본부장은 또 "산업 인프라 구축에 있어서 지역별 경쟁으로 인한 중북투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충청권이 공동논의를 통해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2021년 기준 충청권 지역내총생산(GRDP)는 261조 4000억원으로 전국의 12.5%를 차지했다. 시·도별로는 충남 125조 4000억원, 충북 75조 3000억원, 대전 46조 7000억원, 세종 14조원 등이다.
그해 경제성장률은 세종이 7.4%로 가장 높고 충북(6.9%), 충남(5.1%), 대전(3.1%) 등의 순으로 뒤를 따랐다. 전국평균 경제성장률은 4.3%이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