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사태로 국정과제 동력 상실 우려
여야 갈등 지속… 광역의회 파행 잇따라
수도권 일극 대응 충청광역연합 출범
도시철도 2호선 첫삽 등 숙원 이루기도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올 한 해는 장기간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은 데 이어 연말 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으로 사회·경제적 불확실성까지 확산되며 총체적 난국 속에 저물게 됐다.
다만 위기 속에서도 충청권 민의를 한데 모으기 위한 움직임과 물꼬를 튼 일부 숙원사업 등이 그나마 희망적인 메시지를 던졌다는 평가다.
30일 지역 정치권과 경제·교육계 등에 따르면 올해 주요 이슈로는 단연 윤석열 대통령의 12·3 계엄 사태와 이후 지속 중인 탄핵 정국이 꼽힌다.
현 정국에 지역 내에선 굵직한 현안들이 차질을 빚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데, 공공기관 2차 이전부터 대전 교도소 이전, 세종 국회의사당 건립, 대통령 제2집무실 설치, 충북 K-바이오스퀘어, 충남 가로림만 해양생태 정원 조성 등 대선 공약이자 지역 국정과제 상당수가 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사실상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협조와 논의가 필요한 사업들이 당분간 ‘올스톱’될 것이란 관측도 고개를 들고 있다.
정국은 분열과 격랑에 빠진 상태지만 지역 내에선 각 자치단체가 수도권 일극체제에 대한 대응과 균형발전에 뜻을 모으면서 희소식을 전하기도 했다.
이달 말 4개 시·도가 전국 최초로 광역생활경제권 형성을 위한 충청광역연합을 출범했고, 대전·충남은 35년 만에 행정구역 통합을 위한 민관협의체를 구성했다.
현재로선 상위법 개정과 부처 협의, 이견 해소 등 과제가 산적하지만 첫 발을 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와 함께 대학가에서도 ‘뭉쳐야 산다’는 합심의 바람이 불면서 통합론이 주요 이슈로 재부상했다.
지난해 글로컬대학에 선정된 충북대와 한국교통대는 그간 통합안을 놓고 마찰을 빚었지만 지난달 극적 합의를 이뤄내며 2027년 통합대학 출범을 예고했다.
이와 함께 충남대도 우여곡절 끝에 공주대와 통합 논의를 시작하면서 ‘메머드급’ 통합론에 군불을 때고 있다. 다만 양 측의 대립이 지속 중인 사태도 산적하다. 우선 탄핵 정국 이전에도 지속된 여야 갈등이 지역사회에서도 주요 이슈로 거론된다.
지난 4월 치른 22대 총선에서는 충청권 28개 선거구에서 민주당이 21개 의석을 확보하면서 압승했다.
반면 4개 시·도 광역단체장은 모두 국민의힘 소속으로, 총선 이후 초당적 협력의 필요성이 대두됐지만 현재로선 합격점으로 보기 어렵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당장 지난달에도 예산 확보를 둘러싼 단체장과 국회의원 간 대립각 논란이 불거진 바 있으며 여소야대로 구성된 광역의회에선 파행이 잇따랐다.
이와 함께 의료계 갈등도 부각되고 있다. 올해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이탈하며 의료 대란이 빚어졌다.
충청권에서도 응급실 ‘뺑뺑이’ 사태로 숨을 거둔 사례가 속출했고 의료 대란 사태는 갈등을 봉합하지 못한 채 현재진행형이다. 올해 7월과 9월 지역을 덮친 기록적 폭우도 올 한 해 주요 화두로 거론된다. 특히 7월 닷새간 집중호우로 충청권에선 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주택·상가 침수, 농작물 피해와 함께 대전에선 유등교가 침하돼 임시 가설교량을 설치 중이다.
현 시점에선 장기간 침체기에 이어 내년 전망도 밝지 않은 상태지만 지역 내 일부 숙원사업이 현실화하며 시·도민들의 기대감을 높였다는 평가도 나온다.
대전에선 도시철도 2호선이 첫 삽을 뜨면서 5개구 순환 노선의 시대를 열었고 충남에선 서해복선전철과 서부내륙고속도로 등이 개통됐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올해는 위기에 위기가 덮친 다사다난했던 한 해"라며 "중소기업계가 뽑은 내년 사자성어는 ‘인내외양’이다. 인내심을 발휘해 어려움을 이겨내야 한다는 의미인데 모두가 합심해야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